수과원, 어업인·전문가와 총허용어획량 산정 작업 완료
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에코저널=부산】해양수산부 국립수산과학원은 올해 7월부터 내년년 6월까지 적용할 총허용어획량(TAC; Total Allowable Catch)의 과학적 근거가 되는 생물학적허용어획량(ABC; Acceptable Biological Catch) 산정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국립수산과학원은 지난 30일, 외부 전문가들이 참여한 자원평가 전문위원회를 개최해 2024/2025년 어기 TAC 대상 15개 어종과 시범실시 어종(멸치)에 대한 자원평가·생물학적허용어획량(ABC) 결과를 검토했다. TAC 대상 15개 어종은 고등어, 전갱이, 살오징어, 붉은대게, 꽃게, 대게, 참홍어, 갈치, 참조기, 삼치, 도루묵, 키조개, 개조개, 제주소라, 바지락 등이다.

 

앞서 국립수산과학원은 2024/2025년 어기 TAC 산정을 위한 자원평가에 어업현장과 내·외부 전문가들의 생생한 목소리를 반영키 위해 올해 TAC에 참여하는 주요 15개 업종을 대상으로 위원 126명이 참여한 권역별·어종별 5개 워킹그룹을 운영했다. 업계의 최근 현황을 파악하고, 모두 46건의 건의사항을 발굴한 뒤 이중 23건을 자원평가에 반영했다.

 

자원평가에 반영된 주요 내용은 ▲주변국·TAC 대상업종의 어획상황 ▲자원감소의 복합적 영향(해양환경, 유어통발 등) ▲참여업종이 다수인 TAC 어종에 대한 조업 실태 등이다.

 

자원평가 전문위원회에서 검토된 생물학적허용어획량(ABC)은 2024/2025년 어기 TAC 설정의 근거로 활용된다. 올해 6월 중앙수산조정위원회 심의를 거쳐 최종 TAC가 확정될 예정이다.

 


최용석 국립수산과학원장은 “연근해 수산자원 관리의 핵심인 TAC 자원평가를 위해 권역별·어종별 워킹그룹을 운영하며 전문가, 어업인 등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적극 반영했다”며 “앞으로도 각계, 각층의 다양한 의견이 TAC 설정 등 정책수립에 반영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24-05-31 08:19:11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동해 품은 독도’ 촬영하는 박용득 사진작가
  • <포토>‘어도를 걸을 때’
  • 설악산국립공원 고지대 상고대 관측
최신뉴스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