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원산 식물 종자 스발바르 국제종자저장고 입고
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에코저널=전주】농촌진흥청은 5월 28일(현지 시각) 노르웨이령 스발바르 국제종자저장고(Svalbard Global Seed Vault)에 농업유전자원센터에서 보존 중인 한반도 원산 식물 종자 4천자원을 추가 중복 보존했다고 밝혔다.

 

스발바르 국제종자저장고 외부.

스발바르 국제종자저장고는 2008년 국제연합(UN) 산하 세계작물다양성재단(GCDT)이 인류의 식량자원을 보호하기 위해 북극점에서 가까운 노르웨이령 스발바르제도에 설립한 세계 최대 규모의 종자저장고다. ‘최후의 날 저장고’로도 불린다.

 

국제종자저장고 내부.

이번에 스발바르 국제종자저장고에 중복보존되는 자원은 우리나라에서 자생하거나 수집한 여름콩, 갈보리, 잡초형 벼 등 식량작물 3707자원, 개구리참외, 조선파 등 원예작물 185자원, 율무, 피마자 등 특용작물 108자원 등 모두 4천 자원이다.

 

올해 5월 13일 유전자원 발송.

농촌진흥청은 지난 2008년 노르웨이 농업식품부와 종자 유전자원 중복보존에 관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기탁까지 모두 3만 8272자원을 중복 보존했다. 앞으로 3만 3천자원을 추가 기탁해 2030년까지 7만 5천 자원을 안전 중복보존한다는 계획이다.

 

스발바르 기탁 종자 식량작물 ‘여름콩’.(동부, IT103354)

농촌진흥청 농업유전자원센터 안병옥 센터장은 “농업유전자원은 작물 생산의 기반이자 생명공학 산업의 기초재료로서 소중한 국가 자산”이라며 “앞으로도 국내외 중복보존을 계속 추진해 재난이 발생하더라도 우리 유전자원을 안전하게 지켜낼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스발바르 기탁 종자 원예작물 ‘개구리참외’.(IT174831)

우리나라는 세계 5위 수준의 식물 유전자원 보유국으로 총 25만 5천여 자원을 보존 중이다. 농촌진흥청은 국가재난 상황에서 유전자원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 국내외 유전자원 보존기관과 협력하고 있다. 식물 유전자원 4중 안전 중복보존 중장기 계획을 마련해 식물 유전자원을 보존하고 있다.

 

스발바르 기탁 종자 특용작물 ‘율무’.(의이인, IT112833)

우선 전북혁신도시와 수원 장기저장고에 식물 유전자원 25만 자원을 중복보존하고 있다. 경북 봉화 국립백두대간수목원에 2025년까지 18만 7천 자원, 스발바르 국제종자저장고에 2030년까지 7만 5천 자원을 중복보존한다는 계획이다. 중복보존한 유전자원은 천재지변 등 만일의 사고가 발생해 유전자원이 소실됐을 때 되돌려 받아 복원할 수 있다.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24-05-30 17:15:19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동해 품은 독도’ 촬영하는 박용득 사진작가
  • <포토>‘어도를 걸을 때’
  • 설악산국립공원 고지대 상고대 관측
최신뉴스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