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사회단체, 22대 국회 탈핵 선언 요구
기사 메일전송
시민사회단체, 22대 국회 탈핵 선언 요구 탈핵·정의로운 기후위기 대응 촉구  
  • 기사등록 2024-05-30 16:33:14
기사수정

【에코저널=서울】21대 국회에서 실질적 성과를 내지 못하고, 압도적 찬성으로 의결됐던 ‘기후위기 비상 대응 촉구 결의안’이 선언에 그쳤다는 지적이다. 이에 22대 국회는 달라져야 한다는 요구가 제기됐다.

 

22대 국회 개원일인 오늘(30일) 오전 11시, 기후·탈핵·종교·시민사회단체 연대단체들은 여의도 국회 정문 앞에서 ‘탈핵 국회 요구 기자회견’을 진행했다. 

 

오늘 사회를 맡은 탈핵시민행동 최경숙 집행위워장은 “오늘 브리핑 될 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신규 핵발전소 등 부적절한 내용이 담겼을 것으로 예측된다”며 기자회견을 시작했다.

 


첫 발언자인 김은정 기후위기비상행동 공동운영위원장은 “현 정부 기후정책이 핵 진흥 중심으로 기후 이슈를 왜곡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는 “정부가 핵산업 지원을 위한 R&D 등 수조원의 예산을 계획한 반면, 기후대응기금의 공정한 전환 예산은 65억원 줄었다. 저소득층 에너지효율 개선사업도 2천억원이 안된다”며 지적했다.

 

기후정의동맹 한재각 집행위원은 “정부가 탈석탄을 한다”며, 신규 석탄발전소를 건설하고, 재생에너지 늘린다며 핵발전에 투자하는 것을 비판했다. 한재각 집행위원은 “국회가 직면한 과제 중 가장 앞선 자리에 기후위기 해결과 정의로운 전환이 놓여야”하고, “탈핵과 탈석탄의 방향을 명확히 해야한다”고 강조했다.

 

종교환경회의 최태량 운영위원은 가톨릭 교회의 관점에서 “핵 기술로 일어난 문제들이 인간의 존엄성을 침해한다”면서 22대 국회에 “국민의 의견에 귀 기울이는 것 뿐만 아니라 안전한 법과 정부정책의 감시 역할”을 주문했다.

 

울산에서 올라온 박진영 핵발전소지역탈핵대책위협의회 집행위원장의은 “대통령도 어쩌다 공무원인데 국가의 미래를 대통령 말 한마디에 바꾸어선 안 된다”며 “더 이상 지역의 희생을 강조하는 부도덕한 방식의 에너지는 그만 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학생 기후행동 윤은빈 활동가, 녹색당 김지윤 활동가, 환경운동연합 조민기 활동가의 기자회견문 낭독 후 참가자들이 국회에 ‘탈핵 로드맵’, ‘신규 핵발전소 건설 금지’, ‘노후 핵발전소 수명연장 금지’, ‘탈핵 국회’, ‘공공재생에너지’를 붙이는 퍼포먼스로 기자회견을 마무리했다.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24-05-30 16:33:14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동해 품은 독도’ 촬영하는 박용득 사진작가
  • <포토>‘어도를 걸을 때’
  • 설악산국립공원 고지대 상고대 관측
최신뉴스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