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에서 온실가스를 흡수하라
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우리나라 산림이 온실가스 흡수원으로 제 기능을 충분히 발휘, 국제기구로부터 이를 인정받을 수 있도록 하는 숲가꾸기 사업이 대대적으로 이뤄진다.


북부지방산림청(청장 허경태)은 기후변화협약 부속의정서인 교토의정서가 발효됨에 따라 산림분야 탄소흡수원 확충을 위한 숲가꾸기 사업을 대대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라고 8일 밝혔다.


현재 우리나라는 개도국(Non-Annex Ⅰ국가)에 속해 있어 일단 의무부담에서는 제외됐으나, 금년부터 개도국 의무부담 협상이 시작되면 OECD 회원국이면서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세계에서 9번째인 우리나라는 제2차 이행기간(2013년~2017) 부터 의무부담 압력이 거세질 것으로 예상된다.


산림분야에서도 산림을 잘 가꾸면 나무가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기 때문에 탄소배출권을 인정받을 수 있으므로 산림의 공익적, 환경적 기능의 증진 및 국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산림청에서는 탄소흡수원 확충 기본계획을 수립, 적극 추진중이다.


이에 따라 북부지방산림청에서는 관내 산림이 온실가스 흡수원으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간벌 및 천연림보육 등 숲가꾸기를 오는 2015년까지 22개의 경제림육성단지를 중심으로 22만ha의 산림에 대한 대대적인 숲가꾸기를 실시할 계획이다. 공원구역, 문화재보호구역 등 숲가꾸기 사업에 제한을 받는 시업제한지 14만ha는 산림경영을 위한 기반구축사업을 추진, 전체 산림(43만ha)을 온실가스 흡수원으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추진한다.


이와 함께 산림재해 방지를 위해 과학적인 산불예방 및 초동진화로 산림소실 면적을 최소화하는데 역점을 두고 추진하는 한편 산림병해충의 예찰기능 강화 및 적기 방제로 발생면적 확산을 억제하고 사방사업의 확대로 산사태를 예방해 나갈 계획이다.


이밖에 도시·산업용 등 산림이 타용도로 전용되는 면적을 최소화하며 산림생태계의 핵심축인 백두대간을 보호하고 훼손을 방지함으로써 온실가스 흡수원의 손실요인을 억제해 나갈 계획이다.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05-09-08 12:38:17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동해 품은 독도’ 촬영하는 박용득 사진작가
  • <포토>‘어도를 걸을 때’
  • 설악산국립공원 고지대 상고대 관측
최신뉴스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