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안 상어류 출현 잦을 전망…수온 상승 등 원인
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에코저널=강릉】해양수산부 국립수산과학원(이하 수과원)은 지난해에 이어 올여름도 동해안에 대형 상어류의 출현 빈도가 높을 것으로 예측된다고 밝혔다.

 

올해 2월 7일 울진 후포에서 발견된 청새리상어.(1.3m, 7kg)

이 같은 예측은 수온 상승으로 동해안에서 난류성 어종(방어, 전갱이, 삼치 등)의 어획량이 증가하면서, 상어가 먹이를 쫓아 연안으로 유입된 것으로 추정된다.

 

올해 3월 21일 울진 후포에서 발견된 악상어.(2m, 96.6kg)

수과원 동해수산연구소는 올 초부터 강원·경북의 정치망에서 혼획된 대형 상어류 11마리의 위내용물을 분석한 결과, 방어, 쥐치류, 오징어류 등 다수의 난류성 어종을 확인했다.

 

올해 3월 25일 고성에서 발견된 악상어.(169~183cm, 43.7~62.5kg)

최근 동해안 방어류의 어획량은 30년 전(1994∼2003년) 평균 1265톤에서 최근 10년(2014∼2023년) 평균 6709톤으로 약 430% 증가했다.

 

올해 5월 7일 울진 후포에서 발견된 청상아리.(253cm, 113.6kg)

수과원 동해수산연구소는 지난해 상어류의 출현이 갑자기 증가함에 따라 대형 상어류의 현황과 주요 먹이원을 구명하기 위해 현안 대응 과제로 상어류의 출몰현황과 생태학적인 연구를 수행 중이다.

 

올해 5월 25일 울진 후포에서 발견된 백상아리.(205cm, 76.2kg)

이와 함께 강원대학교 수의학과와 상어류의 출현 증가에 따른 해수 속의 환경DNA(eDNA)를 분석해 동해안 상어류의 분포 특성을 심층적으로 연구할 계획이다.

 

강릉 주문진에서 발견된 청새리상어.(6.10 296cm, 122kg)

올해 어업인들이 조업을 하던 중 혼획된 상어는 총 14건이며, 지난해 상어 출현 신고가 7∼8월에 집중된 것으로 볼 때, 여름철 출현 신고가 더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올해 6월 23일 삼척시 원덕읍에서 발견된 악상어.(259cm, 187kg)

황선재 수과원 동해수산연구소장은 “올여름도 동해 연안으로 대형 상어류가 많이 출현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국민의 안전을 위해 상어 출현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관련 정보를 신속하게 유관기관과 공유하겠다”며 “조업하는 어업인과 여름 휴가철 바다를 찾는 레저활동객들의 각별한 주의를 바라며, 상어를 발견하면 해경 등 관계기관에 신속하게 신고해 줄 것을 당부드린다”고 말했다.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24-06-25 09:11:59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동해 품은 독도’ 촬영하는 박용득 사진작가
  • <포토>‘어도를 걸을 때’
  • 설악산국립공원 고지대 상고대 관측
최신뉴스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