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쌀 생산량 세계 13위
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우리나라 쌀 생산량은 세계 13위, OECD 회원국 가운데 3위로 나타났다.



농림부는 24일 농가인구, 경지면적, 작물생산량, 축산물생산량, 농림축산물수출입 등의 농업관련주요지표를 세계각국 및 OECD 회원국과 비교한 ‘통계로 보는 세계속의 한국농업’을 발표했다.


주요 통계항목으로 살펴본 세계속의 한국농업의 위치는 ‘03년 곡물생산량(조곡기준)은 646만2,000톤으로 세계 37위(OECD 회원국 중 15위)였고 단위 생산량은 5,843kg/ha로 세계 11위(OECD 9위), 수확면적은 1,106천ha로 세계 68위(OECD 19위)다.


쌀 생산량(조곡기준)은 615만1,000톤으로 세계 13위(OECD 3위)였으며 단위 생산량은 6,054kg/ha로 세계 11위(OECD 6위), 수확면적은 1,016천ha로 세계 17위(OECD 3위)다.


육류생산량은 1,538천톤으로 세계 28위(OECD 회원국 중 15위)로 나타났다. 가축사육두수는 소 75위(1,999천두), 돼지 17위(9,251천두), 닭 33위(99백만수)다.


우리나라 농림축산물 수출액은 ‘03년 기준, 18억 6천만 달러로 세계 41위(OECD 23위였으며 수입액은 102억 2,100만달러로 세계 14위(OECD 회원국 중 12위)였다.


구체적으로는 ▲농산물전체 수출액 15억 6,300만달러로 세계 37위(OECD 22위) ▲농산물전체 수입액 62억 1,300만달러로 세계 14위(OECD 12위) ▲육류전체 수출액 3,800만달러로 세계 36위(OECD 21위) ▲육류전체 수입액 15억 5,400만달러로 세계 9위(OECD 8위)였다.


농가인구는 ’03년 기준 3,530천명으로 세계 65위(OECD 6위)로 나타났으며, 경지면적은 ‘02년 기준 186만ha로 세계 94위(OECD 21위)로 나타나 상대적으로 경지면적이 좁은 것으로 나타났다. ’02년 농가인구 1인당 경지면적은 캐나다 61.42ha, 호주 56.19ha, 미국 29.37ha, 일본 1.08ha, 한국 0.52ha였다.


농림부 관계자는 “이번 통계는 우리농업의 각 부문을 세계 각국과 비교함으로써 세계속의 우리농업의 위치를 파악하는데 있다”며 “국제화·개방화 시대에 부응한 농업정책의 기초 자료로 활용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05-04-24 12:05:12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동해 품은 독도’ 촬영하는 박용득 사진작가
  • <포토>‘어도를 걸을 때’
  • 설악산국립공원 고지대 상고대 관측
최신뉴스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