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산업
-
이상진 수도권대기환경청장, 액화 수소충전소 현장점검
【에코저널=인천】환경부 소속 수도권대기환경청 이상진 청장은 31일 인천시 서구 경서동에 소재한 ㈜신백승여행사에서 운영하는 액화수소 충전소를 방문해 수소 충전설비와 운영현황 등을 현장 점검했다. 액화수소는 기체수소에 비해 한번에 10배 이상 더 많은 양을 운송할 수 있어 버스와 같은 대형 차량에도 충분한 수소를 충전할 수 있...
-
제주삼다수, 친환경교육 참여 영유아 가정 모집
【에코저널=제주】생수 브랜드 제주삼다수가 유아기 자녀를 둔 가정을 위한 친환경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가족 친화적인 사회공헌 활동에 나선다. 제주삼다수·인구보건복지협회 ‘우리집 자원순환 교실’ 모집 포스터.제주개발공사는 제주삼다수가 보건복지부 산하 인구보건복지협회와 함께 가족 친화형 환경 교육 프로그램 &ls...
-
국립산림과학원, 목재이용실태 종이 부문 도입 시범조사
【에코저널=서울】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목재이용실태조사에 종이 부문을 도입하기 위한 시범조사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국립산림과학원은 산림 부문 국가 온실가스 통계 산정기관으로, 수확된 목재제품의 온실가스 통계 산정을 위해 ‘목재이용실태조사’ 결과를 활용하고 있다. 목재이용실태조사는 국내의 원목과 목...
-
수공, 호라이즌 유럽 탄소중립도시 에너지분야 과제 수행
【에코저널=대전】한국수자원공사(K-water, 사장 윤석대)가 국내 공공기관 최초로 유럽연합(EU)의 대표 연구·혁신 프로그램인 ‘호라이즌 유럽(Horizon Europe)’ 연계 국토·교통 분야 파트너십 프로그램 중 ‘탄소중립 분야’ 과제를 수행한다. 호라이즌 유럽은 기후변화, 에너지 전환, 스마트 도시 등 글로벌 현안 대응을 위...
-
엔지켐생명과학·한국원자력의학원, GI-ARS 치료제 개발 협력
【에코저널=서울】엔지켐생명과학(대표 손기영)은 방사선의학의 국제적 연구기관인 한국원자력의학원(KIRAMS) 방사선의학연구소와 위장관계 급성방사선증후군(GI-ARS, Gastrointestinal Acute Radiation Syndrome) 치료제 개발을 위한 공동연구협약을 체결했다고 29일 밝혔다. 엔지켐생명과학은 2017년 EC-18은 미국 FDA에서 급성방사선증후군(ARS)에 대한 희귀...
-
택배포장 중량 줄이기 등 유통업계 포장재 감축 노력 공유
【에코저널=서울】환경부는 제품의 유통과정에서 택배 포장재를 줄이기 위해 대규모 유통사업자 등과 추진 중인 ‘유통산업 순환경제 선도기업 업무협약’ 중간 공유회를 7월 30일 코리아나호텔(서울시 중구 소재)에서 개최한다. 이번 행사는 지난해(2024년) 3월 온라인쇼핑몰, 백화점, 티브이(TV)홈쇼핑, 택배사 등 19개 주요 기업과 환...
-
해양수산부, 한화오션과 차세대 쇄빙연구선 건조계약
【에코저널=세종】해양수산부는 29일 극지연구소(소장 신형철)와 한화오션(대표이사 김희철) 간 차세대 쇄빙연구선 건조계약 체결식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계약 대상자로 선정된 한화오션은 앞선 기술심사에서 최적의 선체 형상, 우수한 내한 성능, 연구자 중심의 연구 공간 등을 제시해 높은 평가를 받았다. 이번 계약 체결을 통해 우리나...
-
한국가스공사, ‘디지털 학습 환경 지원’ 시행
【에코저널=대구】한국가스공사는 대구 동구 지역 저소득 취약계층 아동·청소년을 위한 ‘디지털 학습 환경 지원’ 사업을 시행한다고 밝혔다. 이 사업은 경제적 어려움으로 디지털 교육에서 소외되기 쉬운 취약계층 아동·청소년의 학습을 돕기 위한 것으로, 가스공사가 탄소중립 실천과 기부·봉사 문화 조성을 위해 ...
-
김성환 환경부장관, 아산시 소재 바이오가스 생산시설 방문
【에코저널=아산】김성환 환경부장관은 25일 오후 충남 아산시에 위치한 통합 바이오가스 생산 시설(비이에프㈜)을 방문했다. 김성환 환경부장관의 이번 현장 방문은 가축분뇨와 음식물류 폐기물 등 유기성 폐자원을 활용한 바이오가스 생산 현장을 살펴보기 위한 자리다. 이를 통해 자원순환 및 재생에너지 확대 정책이 실제 현장에서 어...
-
셀룰로오스 나노섬유, 고효율 양산 공정 모델 정립
【에코저널=서울】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셀룰로오스 나노섬유의 양산 공정 최적화와 첨단 응용기술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국립산림과학원은 2021년부터 2024년까지 4년간의 연구를 통해 국산 유통펄프를 이용한 저에너지·고효율 양산 공정 모델을 정립하고, 이를 통해 제조한 셀룰로오스 나노섬유를 에어필터, 전고체전지 분리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