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원순환(폐기물)
-
‘지구 온도 식히는 배달 다회용기 피크닉’ 성료
【에코저널=서울】서울시는 6월 7일 여의도 한강공원 너른들판 일대에서 개최한 ‘지구 온도 식히는 배달 다회용기 피크닉’에 약 1500여 명의 시민이 참여해 다회용기 이용에 대한 높은 관심을 나타냈다. 서울시는 대표적인 배달앱 ‘배달의민족’, 다회용기 공급·회수·세척 서비스를 운영하는 스타트업 ‘잇그린&r...
-
“공존을 위한 마지막 골든타임” 플라스틱 생산 감축
【에코저널=제주】‘2025 세계 환경의 날’ 기념행사가 열리는 5일 제주 국제컨벤션센터에 플라스틱으로 오염된 해양생물들이 등장했다. 제주에 살고 있는 청년 어부, 해녀, 어린이, 제주에서 활동하고 있는 시민단체를 비롯해 플라스틱 문제를 뿌리뽑는 연대(이하 플뿌리연대) 활동가 등이 새 정부에 플라스틱 오염 악순환을 끊어낼 ...
-
강북구, 폐비닐-종량제봉투 교환 시범사업 추진
【에코저널=서울】서울 강북구는 2026년부터 시행되는 생활폐기물 직매립 금지 정책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폐비닐 자원화를 촉진하기 위해 이달부터 ‘폐비닐-종량제봉투 교환 시범사업’을 시행한다고 밝혔다. 이번 시범사업은 재활용 가능한 폐비닐을 투명 봉투에 담아 일정량을 동 주민센터에 가져오면 종량제봉투로 교환해주...
-
플라스틱방앗간 전시 ‘FROM WASTE, WE BLOOM’
【에코저널=서울】플라스틱방앗간에서 첫 기획 전시 ‘FROM WASTE, WE BLOOM’을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2025년 5월 31일부터 6월 26일까지 서울환경연합 1층 플라스틱방앗간(서울시 종로구 필운대로 23)에서 진행하고 있다. 평일과 토요일은 오전 10시부터 오후 9시까지, 일요일과 공휴일은 오전 10시부터 오후 8시까지 운영된다. 현충일에도 정...
-
안성시, 대학 축제 다회용기 사용 지원
【에코저널=안성】안성시가 대학 축제 다회용품 지원사업을 통해 1회용품 사용을 줄이기 등 자원 선순환 실천에 앞장선다. 안성시는 지난해부터 공공기관이 선도하는 ‘1회용품 사용 안하기’를 추진하고 있다. 안성시 공공청사 및 주요행사, 장례식장, 중앙대학교 캠퍼스 축제에 다회용기 사용을 지원해 폐기물을 감축하였고 올해에...
-
구리시, 종량제봉투 디자인 전면 개편
【에코저널=구리】구리시는 7월부터 기존 글자 중심에서 그림문자(픽토그램)를 활용한 새로운 디자인으로 적용한 종량제봉투를 제작한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 1995년 쓰레기 수수료 종량제 시행 이후 30년 만의 개편이다. 새로운 종량제봉투는 기존의 복잡했던 문구를 최소화하고 그림문자를 적용해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작한다. ...
-
파주시, 폐토너 등 ‘폐자원 수거의 날’ 운영
【에코저널=파주】파주시는 지난달 28일 파주시청 전 부서(읍면동 포함)와 유관기관을 대상으로 재활용 가능한 폐토너, 폐건전지, 종이팩을 수거하는 ‘폐자원 수거의 날’을 운영했다. 폐토너는 토너 가루, 잉크 등 포함돼 일반쓰레기로 버릴 경우, 환경에 악영향을 끼치는 유해폐기물로 판매회사나 전문 수거업체를 통해 회수하여 ...
-
관악구, RFID 음식물쓰레기 종량기 보급 박차
【에코저널=서울】서울 관악구가 음식물류 폐기물 감량과 효율적인 배출 시스템 구축을 위해 올해도 RFID 종량기 50대를 추가 보급한다. RFID 종량기란 세대별 카드인식시스템을 사용해 음식물쓰레기를 배출하면 배출정보가 실시간으로 환경공단 시스템에 전송돼 배출량에 따라 수수료를 부과하는 방식이다. 이는 세대별 사용량에 따른 수수...
-
서울시, ‘서울페이 개인 컵 포인트제’ 운영
【에코저널=서울】서울시는 환경의 날을 하루 앞둔 오는 4일부터 일회용품을 줄이고, 개인 컵 이용 활성화를 위해 ‘서울페이 개인 컵 포인트제’ 운영을 본격 시작한다. ‘서울페이 개인 컵 포인트제’는 시민이 참여 매장 카페에서 개인 컵을 이용해 음료를 구입할 경우, 매장 자체 할인(100원 이상)에 더해 서울시가 서울페이 ...
-
포천시, 폐현수막 재활용 사업 진행
【에코저널=포천】포천이음사회적협동조합은 조합이 운영하는 새활용 사업단이 포천시에서 노인일자리 사업의 일환으로 폐현수막을 재활용해 탄소 중립 실현에 앞장섰다고 2일 밝혔다. 새활용 사업단은 1960~70년대 한국의 산업화 과정에서 대한민국 수출 산업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이제는 모두 65세 이상의 노인이 된 재봉 노동자로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