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코저널=서울】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대형 산불로 피해를 입은 영남 지역 산림 복구를 위해 ‘송이 감염묘를 이용한 인공 재배 기술 적용’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국립산림과학원이 개발한 ‘송이 감염묘를 이용한 인공 재배 기술’은 3~5년생 어린 소나무 묘목의 뿌리에 송이균을 접종하는 방식이다. 이 기술은 강원도 고성과 홍천 시험림에서의 실증 연구를 통해 송이 발생에 성공하며 현장 적용 가능성을 입증받았다.
산불피해지 고성에서 발생한 송이버섯.고성 시험림은 1996년 산불피해지에 조성된 소나무림이다. 2007년 송이 감염묘 27본을 이식한 결과 2023년 처음으로 송이 5개체가 발생했고, 2024년에는 1개체가 추가로 확인됐다.
1995년 조성된 홍천 시험림의 경우, 2001년부터 2015년까지 192본의 감염묘를 이식한 결과 2010년 첫 송이가 발생했다. 이후 2017년부터는 8년 연속 송이가 발생해 현재까지 총 70개체가 확인됐다.
송이 감염묘.
국립산림과학원은 축적된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영남권 산림에 송이산 복원 기반을 마련하고, 지역 임업인의 소득 보완에도 기여할 계획이다.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한 설명회를 통해 시범지 조성의 필요성을 알리고, 기술 이전도 적극 추진할 방침이다.
국립산림과학원 박응준 산림미생물이용연구과장은 “장기간 축적된 데이터를 통해 송이 감염묘에서 실제 송이 발생이 가능하다는 점을 과학적으로 확인했다”며 “이번 기술이 산촌 주민의 소득 보완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