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코저널=부산】해양수산부 국립수산과학원은 올해 진해만에서 산소부족 물덩어리가 발생하는 강도가 평년보다 약했던 원인을 분석해 발표했다.
누적 강수량 비교.
국립수산과학원은 2017년부터 2025년까지 진해만에 설치된 관측시스템 자료 분석결과, 1월부터 6월 사이 강수량이 많을수록 저층에 산소부족 물덩어리가 발생하는 강도가 강해지는 경향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연안 지형이 반폐쇄적인 내만에 가까운 해역일수록 이 같은 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올해는 진해만 북서부(진북)의 1월 1일부터 6월 10일까지의 누적 강수량이 320.5㎜로 28년간(1997년~2024년) 평균값(472.1㎜)의 68%에 불과하고, 지난해(636.0㎜)에 절반 수준(50%)에 불과하여 산소부족 물덩어리가 발생하는 강도가 평년보다 약했다.
이에 따라 진해만의 산소부족 물덩어리 발생 면적도 크게 줄어 2024년에는 약 260㎢였으나, 올해는 약 150㎢로 지난해 대비 약 58% 수준으로 줄어들었다.
다만, 현재 진해만 서부 해역(진동만, 당동만, 원문만, 고현만)에는 산소부족 물덩어리가 여전히 분포하고 있다. 향후 집중호우 등으로 누적 강수량이 다시 증가할 경우, 발생 강도가 다시 강해질 수도 있는 것으로 예측된다.
진해만 산소부족 물덩어리 발생영역 비교.(2024년 6월)
진해만 산소부족 물덩어리 발생영역 비교.(2025년 6월)
산소부족 물덩어리는 여름철 저층 수온이 15∼16℃에 이르면, 퇴적물 속 미생물이 유기물을 활발히 분해하면서 용존산소를 소모해 발생한다. 여기에 강수량이 많으면 육상에서 유입되는 유기물의 밀도도 증가해, 해저에 쌓인 유기물이 더 많은 산소를 소비하게 된다.
최용석 국립수산과학원장은 “올여름은 태풍 등 영향으로 강수량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어, 남해 연안의 산소부족 물덩어리 발생 강도가 다시 높아질 가능성이 있다”며 “정보통신기술(ICT) 기반 실시간 관측시스템과 현장 조사를 통해 신속히 정보를 제공해 양식생물 피해 최소화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