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코저널=서울】환경부와 한국환경공단은 4월 21일 코엑스마곡(서울 마포구 소재)에서 ‘2025년 지자체 탄소중립 활성화 공개토론회(포럼)’를 개최한다.
이번 행사는 지난해 17개 광역지자체에 이어 올해 4월 전국의 모든 기초지자체(226개)에서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계획(이하 기본계획)’을 최초로 수립하는 것을 계기로, 중앙-지방 정부 간의 협력을 강화하고, 지역의 탄소중립 이행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행사에서는 환경부, 유역(지방)환경청, 2050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지자체 간의 ‘지자체 탄소중립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다. ▲시·군·구 기본계획 주요 사례 발표, △환경부의 탄소중립 정책 방향 공유 ▲지역 탄소중립 강화를 위한 기관별 역할 및 협력 방안 논의를 위한 토론회 등을 진행한다.
업무협약 참여 기관들은 지자체가 수립한 기본계획을 차질없이 이행할 수 있도록 중앙-지방 정부 공동의 탄소중립 이행체계를 공고히 할 것을 다짐한다. 환경부는 유역(지방)환경청을 통해 권역별 탄소중립 이행 협의체를 운영하는 등 지자체 현장에서의 기후변화 대응을 더욱 강화할 예정이다.
이어지는 시군구 기본계획 수립 사례 발표를 통해 ▲공공·민간의 건축물에 신재생에너지를 확대해 탄소중립 그린도시를 지향하는 대구광역시 달서구 ▲기후테크와 역사문화, 시민과의 조화를 도모하는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햇빛과 초록의 도시를 조성하는 서울특별시 노원구의 지역 탄소중립 전략을 공유한다.
환경부는 지자체 기본계획 이행력 제고를 위해 지역별 탄소중립 전문기관인 ‘탄소중립 지원센터’ 지정·운영 확대 및 지자체에서 추진하는 온실가스 감축 사업에 대한 재정 지원사업 추진계획 등 지자체의 탄소중립 추진 기반 강화를 위한 다양한 방안을 소개한다.
토론에서는 ▲전의찬 세종대학교 교수(기후에너지융합과), ▲염정섭 환경부 기후전략과장, ▲홍종성 2050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공정전환과장 ▲최형욱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 정보관리팀장 ▲김형석 한국환경공단 처장 ▲문현석 서울특별시 탄소중립지원센터 센터장 ▲박연희 이클레이 한국사무소 소장 등 기후변화 대응 전문가들이 기관별 지자체 탄소중립 활성화를 위한 역할과 기능 강화 방안을 모색한다.
환경부 안세창 기후탄소정책실장은 “올해(2025년)는 전국의 기초지자체까지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계획을 수립한 뜻깊은 해”라며 “지자체가 각 지역의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계획을 충실하게 이행해 국가의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달성시키는 핵심 열쇠가 되어주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