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코저널=세종】해양수산부와 농림축산식품부는 2025년부터 새롭게 적용되는 국방부의 군 급식방침에 국내산·지역산 농·축·수산물 사용을 촉진하는 방안이 반영됐다고 밝혔다.
해수부와 농식품부는 ‘군 급식 혁신 협의체(TF)’(국방부 차관 주재)에 적극 참여해 국방부 및 농·축·수협 등과 함께 급식용 농수산식품의 안정적인 공급과 품질 향상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해왔다.
올해도 군 급식 식재료 조달에 있어 농·축·수산물 수의계약 비중을 작년과 동일하게 70% 수준을 유지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해수부는 수협과 함께 지역 특산물이 군 부대에 신속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긴밀한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군부대에서 간편하게 조리가 가능한 맞춤형 식자재 공급을 확대할 계획이다.
농식품부는 지역 농·축협,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등과 협력해 다수의 군납조합과 부대 간의 계약 방식을 단일조합과 부대 간 계약으로 간소화하고, 공공급식 플랫폼을 활용한 수발주시스템 구축, 전(前)처리 품목 확대 등을 추진하기로 했다.
군 급식을 민간위탁 사업으로 추진 시 국내산·지역산 식재료를 우선 사용하도록 하고, ‘접경지역지원 특별법’ 내용을 적용해 “접경지역 안에서 생산되는 농·축·수산물을 우선구매 하도록 노력하여야 한다”는 조항을 신규로 명시했다.
농협경제지주, 임진농협, 연천농협이 지난해 11월 18일 지역 농산물을 계약재배로 구입, 급식용 식재료로 활용해 지역경제 활성화에 큰 도움을 준 육군 제5보병사단을 찾아 감사패를 전달했다.
해수부 홍래형 수산정책관은 “군 급식 혁신 협의체(TF)를 통해 관계부처 간 긴밀히 협력해 의미 있는 성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며 “앞으로도 장병의 선호를 최대한 반영한 품질 좋은 수산물을 지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공급체계 개선 및 제품들을 개발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농식품부 양주필 식품산업정책관은 “군 급식 개선을 위한 관계부처 간 적극적인 협업 노력이 결실을 맺었다”며 “농식품부는 군 급식용 식재료의 안정적인 공급과 품질 향상을 위해 군 급식 현장의 수요를 반영한 공급체계를 구축할 수 있도록 지속 노력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