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자기고
-
풀이름을 가진 나무
우리나라 나무이름에는 제각각의 모양과 특성에 맞게 이름을 붙이는 경우가 많다. 특히 식물의 이름은 모양, 빛깔, 길이, 굵기, 성질, 상태 등을 기준으로 명칭을 정해 불려지게 된다.특이하게도 곧은 나무임에도 불구하고 끝말에 ‘풀’ 또는 ‘초(草)’가 붙어 풀로 오해를 받는 나무가 있다.‘된장풀’은 콩과의 식물로 3...
-
빽빽한 숲, 빗물 손실량 커
우리나라의 산림은 국토 면적의 2/3를 차지한다. 그만큼 산림지역에 내리는 물의 양도 많은데, 그 양은 수자원 총량 1,267억 톤의 약 65%다. 이 가운데 나무의 잎이나 가지, 지표면을 통해서 사라지는 양은 수자원 총량의 45%, 하천으로 유출되는 양은 55%에 달한다.숲이 물을 머금는 양은 산림의 면적이나 숲의 상태에 따라 달라진다. 현재 우리나...
-
훌륭한 고혈압치료제 '겨우살이'
겨우살이는 우리나라 각지에 널리 분포한다. 주로 참나무류를 비롯해 팽나무,물오리나무, 밤나무,자작나무, 산돌배나무, 벚나무, 느티나무, 느릅나무, 오동나무 등과 같은 활엽수에 기생하는데 특히 참나무류에 적지 않은 피해를 준다.우리나라에 분포하고 있는 겨우살이류에는 겨울살이를 비롯해 붉은겨우살이, 꼬리겨우살이, 참나무겨우...
-
효과적인 삼림욕 체험
최근 산림욕(山林浴)에 관심 있는 사람들이 크게 늘어났다. 그리고 산림욕이라는 용어도 목욕이나 일광욕이라는 단어처럼 일상생활에 친숙해졌다. 우리나라에서 산림욕이라는 용어가 쓰인 것은 1980년대 중반부터였다. 이후 전국의 주요 숲에 많은 산림욕장이 조성되고, 산림욕을 하는 일반인들도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산림욕이 급속...
-
숲은 ‘자연의 종합병원’
최근 나이가 들면서 삶의 여유를 느끼고자 도시 생활을 접고 전원생활을 꿈꾸는 이들이 늘고 있다. 젊은 시절, 대도시의 각박한 생활 속에서 삶의 여유를 즐길 겨를 없이 앞만 보고 생활했던 것과 달리 쾌적한 자연에서 마음의 여유를 누리고 싶은 것일 게다.요즘 시골에 가보면 목재로 예쁘게 지어 놓은 작은 전원주택들이 자주 눈에 띈다. ...
-
소나무 재선충병 방제를 위한 방법
‘소나무의 에이즈’라고 불리는 ‘소나무 재선충병’이 급속히 확산되고 있다. 소나무가 우리나라 산림의 30%를 차지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심각한 일이 아닐 수 없다.소나무재선충은 스스로는 나무에서 나무로 이동할 능력이 없어서 반드시 솔수염 하늘소라는 매개충을 통해 전염된다. 몸에 재선충을 지닌 솔수염하늘소...
-
이 땅의 터주대감 '소나무'
우리의 문화에서 소나무는, 안방 한가운데 놓여 온 가족을 따뜻하게 해주는 화롯불처럼 늘 함께 해 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오늘날 우리들이 숲과 나무에 대해 잘 모른다 해도 소나무라는 이름은 삼척동자도 아는 그런 나무다. 하지만 이름뿐이지 과연 우리는 소나무에 대해서 얼마나 알고 있을까?소나무는 나무껍질의 색이 나이를 먹어...
-
사랑과 정성 가득한 '땔감'
지난 22일, 아침 일찍부터 부산을 떨었다. 우리 사무소(산림청 춘천국유림관리소)에서 어려운 이웃들에게 사랑의 땔감을 드리기로 한 날이기 때문이다. 팀장님, 주임님들과 함께 일찍부터 챙겨서 사랑의 땔감을 싣기 위해 산으로 향했다.사무실엔 할 일이 가득 이었지만 어르신들에게 땔감 나눠드릴 생각에 발걸음은 그 어느 때 보다 가벼웠...
-
초록이 주는 편안함
한때 '달마도'가 수맥을 차단, 건강에 도움을 주고 수험생의 집중력을 강화시켜 준다고 유행한 적이 있다. 그게 사실인지 아닌지는 몰라도 이 세상에 과학적으로 입증되지 않는 많은 현상과 사건들이 있는 것은 사실이다.잘은 모르지만 그림을 그린 화가의 정성과 예술혼으로 인해 잉태된 그림이기 때문에 강하면서도 정화된 '기'...
-
"살려주세요", 숲의 외침이 들린다
강원도 철원 숲가꾸기가 한창이던 때, 머리위로 천둥과 같은 하늘을 나는 굉음 소리가 들렸다. 부지런히 산 정상에 올라 "무엇이 지나 갔을까"하고 생각하는 중에 또다시 지나가는 굉음소리에 이어 들리는 콰 광 - 쾅!!! 메아리! 산자락 허리에 떨어지는 포탄이었다.어디에서 날아 오늘 걸까? 10km에 떨어져 있는 군부대 포탄 사격장에서 쏘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