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기고
-
'생명의 물', 아끼는 방법 실천해야
이승호 박사(한국종합환경연구소 부소장/수석연구원)【에코저널=서울】우리나라는 '물부족국가'다. 물에 대한 단계는 물 풍요국가, 물 부족국가 그리고 물 기근국가로 나눌 수 있는데, 나누는 기준은 물 사용 가능량으로 구분된다.우리나라는 1인당 물 사용 가능량이 1400㎥정도인데, 물 기근국가는 그 기준이 1000㎥ 이...
-
해적생물로 바다환경 황폐화
이승호 박사(한국종합환경연구소 부소장/수석연구원)【에코저널=서울】바다에 사는 유용한 수산자원의 생육이나 번식을 할 수 없도록 하거나, 유용수산자원을 마구잡이로 잡아먹어 피해를 주는 모든 생물을 '해적생물(海敵生物)'이라고 한다.해적생물의 종류로는 불가사리와 성게를 들 수 있다. 불가사리와 성게는 우수한 번식력으...
-
'생활소음' 서로 조심하고, 약간은 이해하자
이승호 박사(한국종합환경연구소 부소장/수석연구원)【에코저널=서울】조금이라도 차가 막히면 여기저기서 빵∼빵∼ 울려대는 경적 소리는 말 그대로 공해다. 오토바이며 차량들이 질주하는 소음 때문에 도로변 상가나 주택가는 항상 소음으로 인한 고통에 시달리게 된다.이달 초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이 지난 2년 동안 서울시의 도로...
-
"팔당호에서 느끼는 봄은 새롭다"
◀경기도 수질정책과 최영남 팔당대책팀장.【에코저널=팔당】봄이 오면 농작물을 포함한 모든 식물들은 싹이 트며 성장을 시작한다. 동물들 역시 겨울잠에서 깨어나 그들만의 보금자리를 새롭게 꾸미기에 분주해 진다. 몽골, 시베리아 등의 매서운 추위를 피해 잠시 머물렀던 철새들은 겨울동안 정들었던 보금자리를 떠나 살기 좋은 장소...
-
음식물쓰레기 다양한 활용방법 필요
이승호 박사(한국종합환경연구소 부소장/수석연구원)【에코저널=서울】음식물쓰레기 수거문제로 지자체와 민간위탁업체간의 갈등이 나타나고 있다.대부분의 지자체는 현재 음식물쓰레기를 민간에 위탁 처리하고 있다. 음식물쓰레기 처리비용은 현재 1톤당 8만원 가량이다. 그런데 민간업체에서는 최소한 1톤당 12-13만원선까지 올려달라고...
-
어린이시설 유해물질 오염 심각
이승호 박사(한국종합환경연구소 부소장/수석연구원)【에코저널=서울】환경부가 지난해 실외놀이터 700곳과 어린이집, 유치원등 교육시설 300곳 등의 도료와 마감재, 합성고무 바닥재 등에 대해 중금속과 방부제 함유 여부를 조사한 결과, 환경안전관리기준을 초과한 곳이 무려 300곳이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규모가 큰 시설일수록 중금속과 ...
-
2012년 10대 환경뉴스
이승호 박사(한국종합환경연구소 부소장/수석연구원)【에코저널=서울】다사다난했던 한해가 가고 있다. 올해 환경문제에 대해서도 정말 다양한 이슈가 있었다. 환경문제는 경중이 없으므로 2012년 1년 동안 주목을 받은 환경이슈를 10가지 정도 경중 없이 정리해왔다.우선 경북 구미의 불산유출사고를 비롯해 주요 강의 독성남조류 번성, 쓰...
-
석면의 유해성
이승호 박사(한국종합환경연구소 부소장/수석연구원)【에코저널=서울】석면은 20세기 이후에 주로 사용됐다. 주로 석면이 사용된 곳은 자동차, 가정용품, 건설 건축 자재 등의 무려 3000여 종류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노후 석면자재는 부서져 공기 중으로 석면이 방출될 수 있기 때문에 불특정다수의 시설 이용자들 건강에 영향을 줄 ...
-
낙엽 활용, 물질순환 방법이 적절
이승호 박사(한국종합환경연구소 부소장/수석연구원)【에코저널=서울】도심에서의 낙엽은 떨어질 때는 참 낭만적이다. 하지만 바닥으로 떨어져 밟히게 되면 부서지고 이리저리 굴러다녀 미관을 저해한다. 심지어 낙엽 때문에 미끄러져 넘어지기도 한다.이에 다라 대부분의 지자체에서 매년 막대한 비용을 들여 소각하거나 매립을 하고 있...
-
쓰레기, 재활용 활성화 통한 발생량 저감 필수
이승호 박사(한국종합환경연구소 부소장/수석연구원)【에코저널=서울】얼마 전 수도권매립지에서 주민감시단의 준법감시로 인해 시흥, 안양, 평택 등 처리시설이 부족한 경ㄱ기지역 수도권 3개 시(市)가 쓰레기 대란을 위기에 처했었다.환경부의 수도권매립지 골프장 운영권 민영화 방침 등에 반발해 9월 3일부터 10월 19일까지 제2매립장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