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
<신년사>김문수 경기도지사
【에코저널=수원】천이백만 도민 여러분. 새해 복 많이 받으시고, 원하시는 모든 것을 이루시는 한 해가 되기를 기원합니다.세계적인 격동기를 맞아 우리 대한민국의 국운이 활짝 트이고, 도민 모두가 더 건강하고 행복한 2012년이 되기를 소망합니다.지난해 우리 대한민국은 세계적인 불황 속에서도 무역 1조 달러, 세계 8위 통상대국의 위업...
-
하남지역 '인재 풀 시스템' 필요
오수봉 의원 (하남시의회)【에코저널=하남】늘 안타까운 마음으로 생각하고 고민하고 있는 것이 있다. 이중삼중의 각종규제로 자족기능이 부족해 배드타운화된 우리 하남시에 일자리를 창출하고, 지역경제를 활성화 할 수 있는 길이 무엇인가라는 내 스스로의 물음에 시의원의 한 사람으로 하남 지역 정치인의 한 사람으로 풀어야할 가장 ...
-
환경에 대한 생각
이승호 박사(한국종합환경연구소 수석연구원)【에코저널=서울】인류가 살아가는 한 환경을 훼손하지 않고 살아간다는 것은 무척 어려운 이야기인 듯하다. 환경 훼손이 눈에 보이지만 인류의 편의를 위해서 과연 어느 정도 환경훼손을 감수해야하는 것일까?사람마다 생각이 다 다르듯 환경을 대하는 생각도 모두 다르다. 그래서 환경을 생...
-
화학제 남용, 이젠 줄여야 하지 않을까?
이승호 박사(한국종합환경연구소 수석연구원)【에코저널=서울】과학기술의 발달이 인류의 편리로 이어졌다는 것은 누구나 알고 있는 사실이다. 하지만 만사(萬事)에 일장일단(一長一短)이 존재하듯 과학기술의 발달이 인류의 모든 편리로 이어지지는 못하는 모양이다.얼마 전부터 온 국민을 공포에 빠져들게 한 가습...
-
걷기 열풍의 위기
【에코저널=서울】걷기 문화는 세계적으로 이미 오래 전부터 하나의 추세로 자리 잡고 있다. 파울로 코엘료의 '순례자' 발간 이후 한국인에게 큰 인기를 끌고 있는 스페인의 '산티아고 순례길'은 이천년에 달하는 유구한 역사를 가졌으며, 영국의 트레일 문화를 받아들여 20년 동안 조성된 미국의 '존뮤어 트레일'도 95년의 ...
-
북한산성 축성 300주년을 맞아
손동호 소장(국립공원관리공단 북한산국립공원사무소)【에코저널=서울】많은 이들이 '북한산'하면 인수봉, 백운대, 만경대 등 세 개의 뿔이 있는 삼각산으로 상징되는 아름다운 자연경관을 이야기하거나 서울의 진산으로서 풍수지리적 의미를 쉽게 떠올린다. 그러나 북한산에 서울 방위를 위해 쌓았던 북한산성이 있...
-
소백산행 일기(抄)
소석(小石) 김영덕(소백산국립공원 지킴이)【에코저널=단양】푸른 하늘에 떠도는 흰 구름숲을 헤치고 멀리 눈에 들어오는 산과 산은 마치 해무에 쌓인 섬들 같아 이는 산에 온 것이 아니라 광활한 바다에 나와 있는 듯 하다. 진경산수, 필묵으로 그려내는 산수화의 여백과 그 가득 참이 함께 어우러져 펼쳐지는 것이다....
-
해양투기, 무조건 금지가 능사인가?
이승호 박사(한국종합환경연구소 수석연구원)【에코저널=서울】2012년부터 가축분뇨와 하수오니의 해양투기가 전면 금지되고, 2013년부터는 음식폐기물에서 나온 폐수도 바다에 버리지 못하게 된다. 또한 2014년에는 모든 종류의 폐기물이 해양투기되지 못한다. 즉, 폐기물하수, 폐수 찌꺼기, 축산폐수, 음식물쓰레기 침...
-
세계 자원순환의 날 제정하자
이경율 회장 (사)환경실천연합회【에코저널=서울】오늘은 '제3회 자원순환의 날'이다. 한국정부의 환경기념일로 자리매김한지 벌써 3돌을 맞는다.9월 6일, 자원순환의 날의 의미는 9를 뒤집으면 6이라는 숫자가 되고 6을 뒤집으면 9라는 숫자가 된다는 데에서 버리면 쓰레기이지만, 다시 활용하면 자원이 된다는 상징적인 메시지를 전해...
-
샛길로 몸살 앓는 북한산
손동호 (국립공원관리공단 북한산국립공원사무소장)【에코저널=서울】북한산은 연간 일천만 명이 넘는 탐방객이 찾는 도시형 국립공원이다. 북한산은 단위면적당 가장 많은 탐방객이 찾아 1994년 기네스북에도 오른 훼손위협이 가장 높은 공원이다.그동안 북한산은 많은 탐방객의 방문으로 몸살을 앓아왔다. 입장료 폐지, 주5일 근무, 웰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