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
<연재 칼럼>중국 환경문제의 현재와 미래(Ⅳ)
박영식상해다나상무자문유한공사 CEO(법학박사)【에코저널=상해】중국 환경정책은 단기, 중기(2030년), 장기(2050년) 계획으로 제시하고 있다. 단기적 환경정책의 대표격인 '12.5규획'의 특징은 에너지절감 정책과 맞물려 있다는 점이다.중국 정부는 경제발전 과정에서 과다 에너지사용 결과로 빚어진 경제의 외부효과로 환경문제를 인식,...
-
<연재 칼럼>중국 환경문제의 현재와 미래(Ⅲ)
박영식상해다나상무자문유한공사 CEO(법학박사)【에코저널=상해】중국에서 환경산업의 실상을 파악해 비즈니스로 연결해 가려고 할 경우 반드시 짚고 넘어야 할 과제는 중국의 환경법제와 정책동향에 대한 파악이다. 특히, 중국의 법제와 정책은 지방 정부에 상당 부분 권한과 책임을 위임하고 있는 상황이라 광활한 중국에서 환경산업을 ...
-
<연재 칼럼>중국 환경문제의 현재와 미래(Ⅱ)
박영식상해다나상무자문유한공사 CEO(법학박사)【에코저널=상해】제12차 5개년(2011∼2015) 경제규획 중의 환경보호정책 2011년부터 시작되는 제12차 5개년 경제규획(이하 12.5규획)은 중국이 개혁·개방 이후 국부에 치중하던 부의 편중을 민부로 전환하겠다는 의지가 표현된 경제정책이다.그동안 중국 정부는 부에 대한 지역간, 都農간 빈...
-
<연재 칼럼>중국 환경문제의 현재와 미래
박영식상해다나상무자문유한공사 CEO(법학박사)【에코저널=상해】 ♠중국 환경정책의 태동중국은 1950년대 중반까지 공업화 초기단계로 환경문제가 큰 관심 대상이 아니었다. 1950년대 후반부터 중공업이 급속하게 발전하게 됨에 따라 환경문제가 가시화되기 시작했으나, 당시 환경문제는 주로 도시화에 한정됐다.1978년 개혁·개방 ...
-
녹색교통 대중화시대, 국민 불편만 가중
이경율 회장(사)환경실천연합회【에코저널=서울】온실가스의 과다한 배출 등으로 급변하는 기후변화 시대에 대한 대응책으로 대중교통 활성화 정책과 교통체계의 효율화 방안은 전 세계적으로 교통정책의 주요쟁점으로 떠오르고 있다.철도를 이용한 교통수단은 녹색교통, 친환경 교통이라고 불리우며 친환경 녹색성장이라는 철도 홍보 ...
-
바람이 전하는 계절의 시작
이승호 박사(한국종합환경연구소 부소장/수석연구원)【에코저널=서울】요즘 환경파괴, 기후변화 등 여러 가지 환경문제가 이슈화되고 있다. 환경적 변화 정도의 차이는 있기만 어김없이 계절은 바뀌고, 봄이 오고 꽃이 핀다.필자가 계절을 관장하는 신(神)이라면 인류의 환경파괴에 경종을 올릴 심산(心算)으로 한번이라도 계절을 거스르게...
-
신음하는 지구의 생일을 아는가
이경율 회장(사)환경실천연합회【에코저널=서울】4월 22일은 지구의 생일, 지구의 날이다.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는 과연 얼마나 안전한가? 지구의 영원한 미래를 보장하고 장담 할 수 있을까?기후변화의 가속화로 전 세계적으로 이상기온 현상이 갈수록 심해지고 한반도 기후의 특징이던 사계절의 날씨는 이미 흐려져 아열대화 되고 있다. ...
-
염습지에도 봄은 온다
이승호 박사(한국종합환경연구소 부소장/수석연구원)【에코저널=서울】날씨가 아침과 저녁으로 춥고 바람은 어찌나 부는지 날아갈 듯하다. 봄인지 겨울인지 모를 지금 이 날씨는 어떻게 된 것일까?기상 변화가 생기면 늘 나오는 단어가 '기후변화'와 '환경파괴'다. 과연 어디까지가 자연현상이고, 어디까지가 환경변화일까?예년...
-
담배연기 없는 북한산국립공원
손동호 소장(북한산국립공원 도봉사무소)우리나라 국토의 6.6%에 불과한 전국의 국립공원을 찾는 탐방객은 연간 4천만명에 달하며, 이중 북한산국립공원은 연간 1천만명 가량의 탐방객이 방문해 도심 속에서 자연과 깨끗한 공기를 즐길 수 있는 도심 속 허파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북한산국립공원에서는 지난 3월부터 흡연이 일부 허용됐던 ...
-
기후변화로 지구촌이 물 부족 위협
이경율 회장(사)환경실천연합회【에코저널=서울】지구온난화의 가속화로 지구촌 곳곳에서 물 부족으로 인한 문제는 심각한 수위를 넘어 이제는 물 부족으로 위협받는 시점에 도달했다. UNEP(유엔환경위원회)보고서에 따르면 1998년 물 부족으로 인한 환경난민 발생이 한 해 동안 2500만명에 달했고, 이러한 수치는 전쟁난민을 초과했다고 밝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