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
<기고>규제 천국 가평군, 전면적 혁파 아니면 개조를
김성기 가평군수【에코저널=가평】규제는 주민 또는 기업 활동의 자유를 제한하는 국가권력의 간섭이다. 물론 공공의 선을 위한 적정한 규제는 필요하지만 어느 한쪽이 지나친 불평등 관계에 있다면 국가가 나서서 보살펴야 한다.경기도 동부권에 위치한 자연보전권역 5개 시·군, 가평군·양평군·이천시·광주시·여...
-
물을 보며 마음을 씻는 양평 '세미원'
이승호 박사(한국종합환경연구소 부소장)【에코저널=양평】요즘 산과 들은 아름다운 가을을 즐기고 취하려는 사람들로 인해 인산인해(人山人海)를 이루고 있다. 그냥 말로 천고마비(天高馬肥)의 계절이다.주말은 무조건 차가 막히고 평일에도 결코 예외는 아니다. 도로는 관광객들 차량으로 북적북적하다. 자연에 대한 그리움 때문일까? 자...
-
생명을 지키는 소방차 길 터주기
음두호 하남소방서장.【에코저널=하남】고양버스터미널 화재, 장성요양원 화재 등 올해 들어 각종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이처럼 화재로 인한 피해가 심각한데도 실제로 당해보지 않은 사람들은 "설마 내 집이, 내 가족이 다치진 않겠지"하는 안전 불감증이 팽배하다.야간에 화재신고를 받고 출동...
-
"쓰레기, 만들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에코저널=가평】학교 동아리활동인 GEMO(Gapyeong Environment Movement Organization 가평환경운동기구)에서 가평군 자원순환센터 견학을 갔다. 우리 동아리의 지향목표인 가평의 환경상태의 이해와 가평군 환경 봉사를 더 열심히 하기 위해서다.처음 자원순환센터를 방문한다는 소식을 들었을 때 "쓰레기 처리시설? 말은 쉽지!"하는 생각이었다. 기계...
-
하구역 관리, 관련 부처(部處) 화합 절실
이승호 박사(한국종합환경연구소 부소장)【에코저널=서울】국민소득이 높지 않았던 시절에 환경은 늘 개발에 묻혀 뒷전이었다. 그 시절 개발이 진행될 때 환경 파괴를 운운하게 되면 '환경이 밥 먹여 주냐'며 호도하고 매도되었던 것이 사실이다. 그래서 우린 소중한 생물생육공간과 그 속에 살고 있는 수많은 생물자원을 무참히 잃었...
-
남형근 교수의 생명 이야기⑤
남형근 교수(조선대학교 생명화학과)【에코저널=서울】♠우리 몸속의 핵산은?핵산은 단백질의 형성 방향을 제공하는 정보 저장 분자들이다. 핵이라는 말은 진핵세포의 핵 내에 이 분자들이 위치하고 있음을 나타낸다.두 가지 유형의 핵산이 있다. DNA(Deoxyribonucleic qcid) 와 RNA(ribonucleic qcid)가 그것이다. DNA내에는 유전자들이 있는데 이는 ...
-
남형근 교수의 생명 이야기④
남형근 교수(조선대학교 생명화학과)【에코저널=서울】♠우유를 알고 마시자우유는 우리가 먹을 수 있는 건강 식품중의 하나로서 단백질과 무기질 그리고 비타민들이 풍부하다.어떤 사람은 우유나 우유제품(아이스크림이나 치즈)을 먹게 되면 배에 가스가 차거나 다른 불편한 증상을 보인다. 이 사람들은 젖당과 과민성 즉 우유의 주요...
-
남형근 교수의 생명 이야기③
남형근 교수(조선대학교 생명화학과)【에코저널=서울】♠생물학의 현재우리는 생물학의 황금기에 살고 있다. 현재 생물학은 의약품과 농업 부분에서 놀라운 변화를 가져왔고, 여러 사회 조직과도 밀접하게 연결돼 있다.생물학자들은 지금까지 약 107만 종의 생물을 발견하고 연구했다. 아메바나 곰팡이, 나무 그리고 사람까지도 모두 유...
-
그 많던 무당개구리는 지금 어디에
【에코저널=서울】♠무당개구리를 찾아온 밥로버트 카플란. 1980년대 중반, 실험실을 찾아온 그는 자신을 '밥'으로 불러달라 했다.대학원생이던 우리는 미국에서 온 학자에게 다짜고짜 '밥!' 하기 민망해 그가 떠날 때까지 '미스터 카플란'이라 했고, 그는 우리에게 친근감을 느끼지 않았을 것 같은데, 무당개구리를 채집...
-
남형근 교수의 생명 이야기②
남형근 교수(조선대학교 생명화학과)【에코저널=서울】♠기초적인 화학지식어떠한 생물체의 생물학적 시스템을 분해해도 결국 그것은 화학적인 수준으로 귀결된다. 인간과 다른 생명체들 그리고 그들 주변의 모든 것들은 모두 우주의 물리적 재료인 물질로 만들어진다. 좀 더 공식적으로 접근하면 물질은 공간을 차지하며 질량을 가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