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생태
-
경기도, 광릉숲 생물권보전지역 홍보·교육 운영
【에코저널=포천·남양주】경기도가 광릉숲 생물권보전지역의 소중한 가치를 널리 알리기 위해 7월 12일부터 11월 22일까지 남양주 진접푸른숲도서관과 포천 소흘도서관에서 환경·생태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도서관 1층 로비에는 광릉숲을 주제로 한 도서 전시를 방문객들이 관련 도서를 자유롭게 접할 수 있도록 상시 운영한...
-
충북 영동군 양강면 산불 5시간 20분 만에 진화
【에코저널=대전·영동】폭염이 이어지는 가운데 충청북도 영동군 양강면 죽촌리 산39 일원에서 지난 5일 오후 1시경에 발생한 산불은 5시간 20분 만에 진화 완료됐다. 산림청에 따르면 영동 산불진화를 위해 진화헬기 6대, 진화차량 17대, 진화인력 117명을 투입해 오후 6시 20분경 주불진화를 완료했다. 산불을 지상에서 진화하기 위해 산...
-
파주시 파평면 덕천리에 ‘경관농업 실증포’ 조성
【에코저널=파주】파주시가 파평면 덕천리 일원에 다채로운 꽃과 이색적인 작물들로 구성된 ‘경관농업 실증포’를 조성해 눈길을 끌고 있다. ‘경관농업 실증포’란 농업이 단순한 생산 활동을 넘어 농촌의 아름다운 경관을 조성하고, 관광 자원으로의 가능성을 시험하는 공간으로 다양한 경관 작물이 파주시 지역 기후에 적...
-
환경재단 ‘대학생 천연기념물지킴이단’ 13기 활동 돌입
【에코저널=서울】환경재단은 7월 2일부터 4일까지 2박 3일간 ‘대학생 천연기념물지킴이단’ 13기 하계캠프를 성공적으로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캠프는 환경재단이 주최하고 에쓰오일과 국가유산청이 후원하는 ‘대학생 천연기념물지킴이단’ 프로그램의 시작을 알리는 자리로, 기후위기와 서식지 훼손으로 위협받는 천연...
-
맹독성 ‘붉은사슴뿔버섯’ 섭취 절대 금지
【에코저널=서울】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최근 붉은사슴뿔버섯을 식용 가능한 버섯으로 소개하거나, 관련 음식 레시피를 공유하는 사례가 확산됨에 따라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고 밝혔다. 화려한 외형으로 쉽게 눈에 띄는 붉은사슴뿔버섯은 소량만 섭취해도 치명적인 중독 증상을 유발하는 맹독성 버섯이다. 이 독버섯에는 트리코테신...
-
‘평택 바람길숲’, 산림청 선정 ‘산책하기 좋은 도시숲’
【에코저널=평택】평택시 안성천 발원지에서 양성교를 지나 동삭지구까지 이어지는 ‘평택 바람길숲’이 2025년 산림청이 선정한 ‘산책하기 좋은 도시숲 10선’에 이름을 올렸다. 산림청이 지난 1일 공개한 도시숲 10선은 본격적인 여름철 무더위를 앞두고 시민이 나무 그늘 아래에서 더위를 피하고 쾌적하게 걷기 좋은 도시숲...
-
“양평수박축제엔 3W가 있다”…고당도 수박 ‘일품’
【에코저널=양평】7월 첫 주말의 시작인 5일, 경기도 양평군 청운면 청운용두시장 일원에서 ‘양평수박축제’가 열렸다. ‘양평수박축제’에는 달콤한 ‘수박(Watermelon)’, 시원한 ‘물놀이(Water)’, ‘건강한 농특산물(Wellness)’의 세 가지 ‘W’가 있다. 5일~6일 양일 동안 열리는 ‘청운면(靑雲面)’...
-
보리·돌콩 등 농업유전자원 ‘백두대간’에 안전중복보존
【에코저널=봉화】농촌진흥청은 농업유전자원센터에 보존된 농업유전자원 7천 자원을 지난 3일 경북 봉화에 있는 백두대간 글로벌 시드볼트에 기탁, 보존한다고 밝혔다. 백두대간 글로벌 시드볼트는 해발 760미터 지하 암반층에 구축된 영구 종자 저장시설이다.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은 2020년 산림청 산하 한국수목원정원관리원과 업...
-
물향기수목원 분홍·하늘·보라·흰색 등 파스텔톤 수국 만개
【에코저널=오산】오산시에 위치한 경기도 대표 수목원인 물향기수목원의 분홍, 하늘, 보라, 흰색 등 파스텔톤 수국이 만개하며 관람객들의 방문을 기다리고 있다. 물향기수목원의 수국 주제원은 약 430㎡(130평) 규모로 조성돼 있다. 올해는 개화 상태가 우수해 예년보다 훨씬 풍성하고 선명한 색감의 수국 군락을 만나볼 수 있다. 방문객을 ...
-
‘러브버그’ 활동 7월 초 대부분 종료 전망
【에코저널=서울】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붉은등우단털파리(이하 러브버그)의 발생 양상을 예측 모델로 분석한 결과, 7월 1일 기준 전체 활동의 약 86%가 진행된 것으로 예측돼 7~10일 이내에 대부분의 개체가 자연 소멸할 것으로 전망했다. 러브버그는 일본, 중국, 대만 등 동아시아 지역에서 관찰되는 부식성 파리류로, 인체나 농작물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