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생태
-
용인 수지구, 한빛중학교 인근 ‘내 집 앞 맨발길’ 조성
【에코저널=용인】용인특례시 수지구는 도심 속 녹지를 활용해 언제든지 안전하고 쾌적하게 이용할 수 있는 ‘내 집 앞 맨발길’을 동천동 916번지 한빛중학교 앞 경관녹지 내에 조성했다고 15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주민들이 맨발걷기를 위해 먼 거리를 이동하지 않고도 집 가까이에 있는 녹지 공간에서 건강 증진과 힐링의 기회를 ...
-
더조은환경연대, 양평초 2학년 대상 생태환경교육 진행
【에코저널=양평】양평초등학교 2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생태환경교육 프로그램이 운영됐다. 양평초등학교와 양평군 환경교육전문기관인 사회환경교육기관 더조은환경연대가 협력해 기획한 이번 교육은 환경부 우수환경교육프로그램인 ▲‘출발! 양평탐험대’ ▲‘너희랑 함께 살고 싶어’ 두 프로그램으로 진행됐다. 두 ...
-
해남군 ‘하미 멜론’ 조기 재배 성공…본격 출하
【에코저널=해남】해남군에서 하미 멜론 조기 재배에 성공해 본격 출하를 시작했다. 해남군은 올해 신소득 하미 멜론 조기출하 기술 시범사업을 추진, 7월 초부터 멜론 수확을 시작했다. 하미 멜론은 중국 신장위구르 하미 지역에서 유래한 품종으로, 예로부터 황제에게 진상하던 멜론으로 알려져 있다. 과육 밀도가 높고 과즙이 풍부해 &lsqu...
-
남부지방산림청, 트리플래닛과 산불피해지 복구 협약
【에코저널=안동】남부지방산림청은 14일 트리플래닛과 금년 3월 22일에 발생한 경북지역 초대형 산불피해지 복구를 위한 공동산림사업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공동산림사업은 산림사업의 효율적 추진과 지역사회의 발전을 위해 진행하게 된다. 산림청은 사업에 필요한 산림을 제공하고, 사업수행자는 비용을 부담해 산림을 가꾸는 사...
-
숲체원 등 산림 기온, 도시보다 최대 8.8℃ 낮아
【에코저널=서울】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지난 3년간 폭염 기간의 기온을 분석한 결과, 숲체원과 치유원 등이 위치한 산림의 기온이 도시보다 최대 8.8℃까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전국 44개소 132지점에 설치된 산림 미세먼지 측정넷(aican.nifos.go.kr) 중 숲체원 등이 설치된 8개소를 중심으로 진행됐다. 숲체원은 다양...
-
관악구, ‘관악산 여름 특별 산림 여가 프로그램’ 운영
【에코저널=서울】무더운 여름철이지만 덥다고 집에만 있기 아쉬운 여름방학, 관악구가 가족들과 관악산 자연 속에서 힐링하고 추억을 만들 수 있는 ‘관악산 여름 특별 산림 여가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먼저 관악구 유아숲체험원 5개소에서는 숲에서 자연과 가까이 교감하며 아이들의 몸과 마음의 성장을 돕는 ‘자연 놀이터&rs...
-
꿀벌을 지키는 5부처, 연구성과 공유 심포지엄
【에코저널=서울】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11일 ‘기상이변 대응 새로운 밀원수종 개발로 꿀벌 보호 및 생태계 보전 다부처 공동연구사업’ 심포지엄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심포지엄은 한국예방수의학회 50주년 기념 학술대회의 특별 세션으로 진행됐다. 국립산림과학원, 농림축산검역본부, 국립농업과학원, 국립생물자원관, ...
-
환경부, ‘러브버그’ 등 곤충 대발생 대응체계 확대 개편
【에코저널=세종】환경부는 지자체·유관기관 협업을 통해 붉은등우단털파리(이하 ‘러브버그’) 등 곤충 대발생에 대한 선제적 대응체계를 재점검하고, 이를 확대 개편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최근 인천 계양산 등 수도권 서부를 중심으로 러브버그가 대량으로 발생해 국민 불편을 일으킨 바 있다. 이에 환경부는 11일 오전 서울,...
-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지역아동센터, 생물다양성 교육 협력
【에코저널=목포】환경부 산하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은 지난 10일 자원관 대회의실에서 지역아동센터 광주지원단과 ‘지역의 생물다양성 교육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양 기관이 보유한 자원과 전문성을 바탕으로, 광주 지역 내 아동들에게 양질의 생물자원 교육프로그램과 체험활동 기회를 제...
-
남양주시 물맑음수목원에 반딧불이 자생 성공
【에코저널=남양주】남양주시는 물맑음수목원에 지난해 방사한 반딧불이 유충이 성충으로 성장해 자생 환경에 안정적으로 정착했음을 7월 초 모니터링을 통해 확인했다고 10일 밝혔다. 현재 우리나라에는 애반딧불이(5월 하순∼7월 초순 출현), 늦반딧불이(8월 중순∼9월 중순 출현), 운문산반딧불이(5월 하순∼7월 초순 출현) 등 3종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