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야(瓦也) 연재>서인·노론계 대표하는 ‘돈암서원’
기사 메일전송
<와야(瓦也) 연재>서인·노론계 대표하는 ‘돈암서원’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지정 산사·서원을 따라(49)
  • 기사등록 2024-12-29 08:00:01
  • 기사수정 2024-12-29 12:09:27
기사수정

【에코저널=서울】동가식서가숙(東家食西家宿) 아니 서가식동가숙(西家食東家宿)이다. 어제 저녁 서쪽의 충남 서천(舒川)에서 식사를 하고, 동쪽에 있는 논산(論山)에 와서 잠을 잤다. 

 

세계유산 돈암서원.

오늘도 눈 뜨기 바쁘게 움직인다. 오늘의 첫 행선지는 논산시 연산면(連山面) 임리(林里)에 있는 돈암서원이다. 돈암서원(遯巖書院)은 사적(제383호)으로 지정됐고, 2019년 7월 6일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아홉 개 서원 중의 하나다. 

 

돈암서원 배치도.

돈암서원이 창건되기 이전에는 김장생의 아버지인 김계휘(金繼輝)가 설립한 정회당(靜會堂)이 있어 문풍(文風)이 크게 진작됐고, 김장생은 양성당(養性堂)을 세워 학문 연구와 후진 양성에 힘을 기울였다. 이에 1634년(인조12) 양성당과 정회당을 중심으로 서원이 건립됐으며, 1660년(현종 1)에 ‘돈암서원’으로 사액(賜額)됐다. 

 

돈암서원.

서원은 선현을 봉사하는 사우(祠宇)와 유생들을 교육하는 재(齋)가 결합된 사학(私學)이다. 처음 돈암서원은 이곳에서 서북방 1.5㎞ 떨어진 숲말에 건립됐으나, 1880년(고종17)에 홍수피해로 이곳으로 옮겼다. 1866년 흥선 대원군의 서원철폐 때에도 보존된 전국 47개 서원 중의 하나다. 사계 김장생(沙溪 金長生)을 주향(主享)하고, 그의 아들인 김집(金集)과 제자인 송준길(宋浚吉), 송시열(宋時烈)을 배향(配享)했다. 

 

돈암서원은 산앙루를 지나 외삼문인 입덕문(入德門)을 들어서면 정면에 양성당, 좌측에 응도당(凝道堂)이 있다. 사우는 양성당 후면에 있고, 장판각, 정회당이 있다. 

 

돈암서원 산앙루.

산앙루(山仰樓)는 ‘높은 산을 우러러보듯 김장생의 정신과 학문을 더 높이 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고 한다. 누에 올라 사방을 둘러보니 황산벌에서 불어오는 한 줄기 바람은 천오백 년 전 백제의 꿈결 같다. 

 

돈암서원 숭례사.

사우인 숭례사(崇禮祠)에서는 매년 음력 2월과 8월 중정(中丁)일에 향사(享祀)를 올린다. 사우의 전면은 1칸통을 개방해 전퇴를 뒀고, 내부는 우물마루를 깔았다. 전퇴는 전돌 바닥이다. 전면 기둥사이에는 사분합 띠살문을 달고, 옆면과 뒷면은 회벽이다. 

 

돈암서원 꽃담장 ‘지부해함(地負海涵)’.

숭례사를 둘러싼 담장은 지부해함(地負海涵, 땅은 만물을 짊어지고 바다는 만천을 포용) 박문약례(博文約禮, 지식은 넓히고 행동은 예의에 맞게) 서일화풍(瑞日和風, 상서로운 햇살과 온화한 바람) 12자로 장식한 꽃담장이다. 

 

보물(제1569호)로 지정된 응도당(凝道堂)은 유생들이 공부하던 곳으로 1880년(고종17) 서원을 현재의 위치로 옮길 때 옛터에 남아 있던 것을 1971년에 옮겨지었다. 

 

돈암서원 응도당.

응도당은 사당방향과 직각으로 배치돼 있는데, 이는 서원이나 향교에서 보기 드문 예라고 한다. 여러 가지 기록에 의하면 돈암서원의 건물배치와 규모는 김장생이 논산시 강경읍(江景邑)의 죽림서원(竹林書院)을 창건했던 규례를 이어받은 것이라고 한다. 이 건물은 기와의 명문(銘文)으로 보아 1633년(인조11)에 건립됐다. 

 

돈암서원 정회당.

응도당 옆의 정회당(靜會堂)은 유생들이 수행하는 방법 가운데 하나로, ‘고요하게 몸소 실천하며 수행한다’는 뜻의 ‘정회(停會)’에서 유래했다고 한다. 김장생의 부친 김계휘(金繼輝)가 강학하던 건물이며, 대둔산자락의 고운사 터에서 1954년에 이곳으로 옮겨왔다. 정면 4칸 측면 2칸으로 후면열 가운데에 마루방을 두었고 우물마루를 깔았다. 

 

돈암서원 향나무.

돈암서원은 광산김씨 문중에서 관리한다. 연산 지역에서 세거하는 광산김씨(光山金氏)는 많은 인재를 배출한 명문사족가문으로 돈암서원은 서인·노론계를 대표하는 서원이다. 

 

◆글-와야(瓦也) 정유순

현 양평문인협회 회원

현 에코저널 자문위원

전 전주지방환경청장

전 환경부 한강환경감시대장

홍조근정훈장, 대통령 표창 등 수상

관련기사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24-12-29 08:00:01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오대산 ‘복수초’ 개화…봄 ‘성큼’
  • ‘동해 품은 독도’ 촬영하는 박용득 사진작가
  • <포토>‘어도를 걸을 때’
최신뉴스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