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훼손으로 바다생물 갈 곳 잃어
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이승호 책임연구원(한국수권환경연구센터)


요즘 환경에 대한 인식이 많이 달라져 전국 곳곳에서 자주 정화운동이 펼쳐진다.


과거 처리비용을 아끼기 위해 혹은 주변 환경에 영향이 미치지 않을 것이란 생각에 무심코 매립하거나 버려 둔 쓰레기를 이제는 막대한 돈을 들여 다시 수거한다.


하지만 현재도 곳곳에서 갖가지 폐기물들이 썩지 않고 남아 있거나 썩어서 침출수로 인한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해양 쓰레기는 더욱 심각한 실정이다. 각종 어구(폐그물)를 비롯한 망가진 인공어초, 폐로프, 폐비닐, 타이어, 심지어 냉장고도 해양에 투기되거나 방치되고 있다.


얼마 전 필자는 동해안 영덕 부근 해양조사를 다녀왔다. 동물플랑크톤과 식물플랑크톤, 어란-자치어 샘플링을 끝내고 저서동물 조사를 위해 그랩을 내렸다. 그랩은 해저 표층 퇴적물을 채취할 때 사용하는 해양조사 장비로 조사선박에서 내려 샘플링을 한 후 선박의 윈치로 끌어올려 저서동물이 생육하는 퇴적물을 샘플링하는 방법이다.


첫 번째 조사지점의 샘플링을 무사히 마치고 두 번째 저서동물 채취 지점에 왔을 때 그랩이 올라오지 않는 것이었다. 동행한 선장은 "근처 해저면에 폐그물이 많이 산재해 있다"며 "아마도 그물에 엉켜 버린 듯하다"고 말했다. 우리는 윈치를 걸고 계속 끌어 올려 보았지만 헛수고였다. 한 40분을 씨름했지만 결국 그랩에 걸려 있던 밧줄이 터져 장비를 잃어 버렸다.


1m가 되지 않는 해양장비가 분실될 정도니 그 보다 큰 어망이 내려졌다면 다시 폐어망과 엉켜 바다쓰레기로 전락할 것이 자명하다. 바다에 이렇듯 쓰레기가 많다면 물고기들도 폐어망에 갇혀 죽어 갈 것이며 치어들도 생육하기 어려울 것이 뻔하다. 동해안에서 그물에 걸린 고래류가 자주 발견되는 것도 폐어망에 의한 영향이 한몫 하고 있다. 폐어망과 쓰레기로 둘러 쌓인 곳은 해조류도 잘 자라지 못한다.


해양조사는 여분으로 가져간 그랩으로 무사히 마쳤지만 참으로 현실이 안타까웠다. 해양을 생업으로 하는 사람들의 조심스런 접근이 필요할 듯 하다. 해양으로 버려진 쓰레기는 결국 바다를 생업으로 하시는 어업인들의 어장을 망치고 국가 어족자원의 고갈을 가중시키게 된다.


이런저런 씁쓸한 생각으로 머릿속이 복잡해질 때 멀리서 흥겨운 노랫가락이 들려오며 뱃머리 한쪽에 달린 플랜카드에 치어방류라는 문구가 들어 왔다. 참 아이러니 하다. 치어가 잘 자라지 못하도록 쓰레기를 무참히 버려놓고 고기가 잘 잡히도록 치어를 방류 다니 얼마나 비효율적인 일이며 한편으로는 안타까운 일인가?


얼마 전 홍성군은 바다 오염 방지 등 해양환경 개선을 위해 조업중 그물에 인양된 해양쓰레기를 매입하는 해양쓰레기 수매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힌 바 있다. 홍성군은 조업중 인양된 쓰레기를 처리할 곳이 마땅치 않아 바다에 다시 투기함으로써 해양오염이 가중되고 정화비용도 매년 증가해 해양수산부에 사업을 신청, 보령수협을 통해 수매제를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올해 사업비 1억원을 투입, 조업중 인양된 폐어구, 폐로프, 폐비닐 등의 해양쓰레기를 매입한다고 한다.


해양쓰레기 매입은 임시방편에 불과하며 지속된 페어망 발생과 쓰레기 투기는 결국 바다생물은 물론 우리가 살아갈 곳도 같이 잃는 것이다. 더 이상 쓰레기로 인해 해양생물에 피해가 미치지 않도록 어업인들과 방문객, 관계기관의 철저한 관심과 노력이 필요한 때다.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05-06-22 09:09:22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동해 품은 독도’ 촬영하는 박용득 사진작가
  • <포토>‘어도를 걸을 때’
  • 설악산국립공원 고지대 상고대 관측
최신뉴스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