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정성 기자
【에코저널=서울】2019년부터 2023년까지 5년 동안 해양쓰레기 62만 5727톤이 수거된 것으로 조사됐다. 해양쓰레기는 2019년 10만 8644톤에서 2020년 13만 8362톤으로 증가한 후, 2021년 12만 736톤으로 감소했으나, 2022년 12만 6035톤, 2023년 13만 1930톤으로 증가했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김선교 의원(경기 여주시·양평군)이 해양수산부에게 제출받은 ‘최근 5년간(2019~2023년) 해양쓰레기의 유형별 수거량 현황’ 분석결과, 이같이 확인됐다.
해양쓰레기 수거작업.
유형별로는 해안쓰레기가 47만 5524톤으로 가장 많았고, 침적쓰레기 11만 524톤, 부유쓰레기 3만 9659톤 등의 순이다.
지역별 해양쓰레기 수거량은 5년간 전라남도가 18만 3710톤으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제주도 7만7586톤, 충청남도 6만7248톤, 경상남도 5만9603톤, 경상북도 4만1187톤, 강원도 3만8576톤 순으로 확인됐다.
5년간 해안쓰레기를 모니터링한 결과, 44만8235개의 쓰레기 중 98.2%인 44만32개의 쓰레기는 국내 기인으로 확인됐다. 외국 기인의 쓰레기는 8203개, 1.8%로 나타났다. 외국 기인 쓰레기의 96.1%는 중국에 의한 것으로 조사됐다.
김선교 의원은 “해양쓰레기에 의한 해양오염은 생물의 다양성, 기후변화, 인류의 건강 등 다양한 측면에서 피해를 줄 수 있다”며 “정부는 모니터링 강화 및 대국민 홍보 활동과 교육 등을 통해 해양쓰레기의 심각성을 인지시키는 등 해양오염 예방에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