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정성 기자
【에코저널=인천】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이용우 의원(인천 서구을)은 7일 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이하 벤츠코리아) 임원진을 인천 서구로 초청해 전기차 화재 관련 요구사항을 전달하고, 사고 수습을 협의했다.
이용우 의원은 오늘 최초 화재가 발생한 차량 제조사인 벤츠코리아 임원진을 인천 서구 지역사무소로 초청해 회의를 개최했다. 이 회의에는 오노레 츄쿠노(Honore Tchoukuegno) CFO 겸 수석부사장, 킬리안 텔렌(Kilian Thelen) 제품 부문 부사장, 김나정 딜러네트워크 부문 부사장 등 벤츠코리아 임원진이 대거 참석했다. 다만 마티아스 바이틀(Mathias Vaitl) 벤츠코리아 사장은 해외 출장 일정으로 참석하지 못했다.
이 의원은 “지역주민을 대표해 말씀드린다”며 “벤츠코리아는 한국에서 8조원에 육박하는 매출을 올리는 기업이고, 이번 화재 차량의 제조사다. 보다 책임 있고 신속하게, 적극적으로 수습에 나서야 한다”는 기조를 밝혔다.
이 의원은 이어 “CCTV 등 현재까지 드러난 정황에 따르면, 충전 중도 아닌 상태의 전기차로부터 화재가 시작된 것은 사실”이라며 “배터리와 그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을 포함해 안전에 대한 모든 책임과 보증은 벤츠에서 지는 것이 맞느냐”고 질의했다. 실제로 2022년 4월 벤츠 독일 본사의 크리스토프 스타진스키(Christoph Starzynski) 전기차개발 총괄 부사장은 국내 언론과 진행한 인터뷰에서 “벤츠 EQE(이번 사고차량) 등에 탑재된 배터리에 대한 우려는 소비자가 전혀 할 필요 없다. 모든 문제에 대해서는 벤츠가 보증한다”고 밝힌 바 있다.
이에 대해 벤츠코리아 임원진은 “이용우 의원이 말씀하신 바와 같이, EQE차량(이번 사고차량)에 사용된 리튬이온 배터리에 대해서는 10년·25만km까지 보증하고 있다. 다만 현재 조사가 진행 중인 만큼, 사고 원인을 특정하기는 어렵다”며 조심스러운 입장을 표명했다.
이 의원은 “리튬이온 배터리든 다른 부품이든 적어도 어떤 외부 요인이 아니라 차량 자체의 결함으로 인해 화재가 발생한 사실이 확인되면, 법정공방 하지 말고 신속하게 주민 피해 배상에 나서 달라”고 요청했다. 벤츠코리아 임원진도 “기본적으로 차량이 원인이라면 제조사로서 그 차량으로 인한 피해에 대해 책임을 질 것”이라고 답했다.
이 의원은 “화재로 인한 피해가 매우 큰 만큼, 해외출장 중인 마티아스 바이틀 벤츠코리아 사장이 조기 귀국해 주민들과 간담회를 열어야 한다”고 요청했다.
이 의원의 요청에 대해 벤츠코리아는 “바이틀 사장이 원래 계획했던 출장 일정을 단축할 예정이다. 사장 귀국 전이라도 임원진이 조속히 주민 간담회에서 피해자들의 의견을 청취하고, 구호 지원 방안도 검토하겠다”고 화답했다.
회의 직후 이 의원은 “59시간 동안 가만히 주차돼 있던 차에서 화재가 시작돼 도심 대단지에 막대한 물적 피해가 발생했다. 화재 수습, 배·보상 및 재발방지에 벤츠코리아가 앞으로 얼마나 적극적으로 나설 지 지켜볼 것”이라며 “법제 개선을 포함한 재발방지 대책을 마련하고, 오는 국정감사를 포함해 제도권에서 논의를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앞서 지난 8월 1일 인천 서구 대단지아파트 지하주차장의 벤츠 리튬이온 전기차에서 대형화재가 발생한 바 있다. 이 화재로 6일 기준 822명에 달하는 이재민이 임시주거시설로 대피했고, 지하주차장 1층에 주차된 차량 72대 전소 등 피해가 잇따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