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와야(瓦也) 연재>이순신 장군 성품 담은 고흥 ‘청렴광장’
- 【에코저널=서울】지죽도에서 나와 도착한 곳은 고흥군 도화면 구암리다. 도화면(道化面)은 고려시대 도화현이었다가 조선 세종 때 흥양현에 속했으며, 조선...
- 2025-08-16
-
- <와야(瓦也) 연재>지죽도 총각·시산도 처녀 결혼 ‘행복’
- 【에코저널=서울】역시 전라남도 고흥은 서울에서 먼 거리다. 고흥읍(高興邑)은 전라남도 고흥군의 군청 소재지며, 고흥반도의 중앙부에 있다. 1895년 읍내면...
- 2025-08-10
-
- <와야(瓦也) 연재>어린 사슴과 비슷한 모양의 섬 ‘소록도’
- 【에코저널=서울】오후에는 거금도 서북단에 있는 거금대교 입구로 이동한다. 거금대교(居金大橋)는 국도 제27호의 연장구간으로 거금도와 소록도 사이를 연...
- 2025-08-09
-
- <와야(瓦也) 연재>민족종교 ‘대종교’ 중광한 홍암 나철
- 【에코저널=서울】발길은 다시 가까이에 있는 ‘김범우의 집’으로 돌린다. 올라가는 고샅길은 뚝뚝 떨어지는 장맛비에 좀 스산하고 무슨 이런 곳에 저...
- 2025-08-02
-
- <와야(瓦也) 연재>벌교에서 만나는 소설 ‘태백산맥’
- 【에코저널=서울】그저께 밤늦게 도착해 이틀을 잔 곳이 보성군 벌교읍이다. 벌교읍(筏橋邑)은 보성군 동부에 있는 읍으로 동쪽은 순천시, 서쪽은 율어면(栗...
- 2025-07-27
-
- <와야(瓦也) 연재>우림원 송무학수…소나무와 학처럼
- 【에코저널=서울】‘갤러리 Re’를 빠져 나온 발길은 고흥군 대서면 안남리 장선해수욕장 해변이다. 고흥군(高興郡)은 벌교(筏橋) 부근에서 뻗어 내린 ...
- 2025-07-26
-
- <와야(瓦也) 연재>‘쪽’ 염색 장인 한광석 이사장
- 【에코저널=서울】전통천연염색작가 한광석 장인(匠人)의 작업장은 문덕초등학교 용암분교(폐교)를 개조해 만들었으며, 교실에는 그의 예술을 전수받고자 벌...
- 2025-07-20
-
- <와야(瓦也) 연재>‘대추귀고둥’ 서식지 해평리 해안
- 【에코저널=서울】누구를 기다린다는 것은 하나의 희망이 될 수 있다. 그 희망을 가슴속 깊이 새기며 당도한 곳이 득량면 해평리다. 해평리(海坪里)는 농촌지...
- 2025-07-19
-
- <와야(瓦也) 연재>영원한 사랑, 슬픈 전설 간직한 ‘도라지꽃’
- 【에코저널=서울】오늘의 출발지는 보성군 득량면 비봉리다. 득량면(得粮面)은 보성군 남부에 있는 면으로, 북쪽은 겸백면(兼白面), 북동쪽은 조성면(鳥城面),...
- 2025-07-13
-
- <와야(瓦也) 연재>한강 작가 부친 이름 딴 ‘한승원 문학산책길’
- 【에코저널=서울】장재교를 건너면 안양면 사촌리 율산마을 앞에 펼쳐진 여다지해변에 있는 ‘한승원 문학산책길’은 작가인 한승원의 문학작품을 기...
- 2025-07-05
-
- <와야(瓦也) 연재>어부 남편 무사귀환 기원 ‘소등섬’
- 【에코저널=서울】숙소가 있었던 관산읍 방촌리 국도 23호선 도로변, 좌·우측에 화강석으로 된 2기의 석장승이 마주 보며 서 있다. 이중 서쪽에 위치한 장...
- 2025-06-29
-
- <와야(瓦也) 연재>호남제일지제영산 ‘천관산’
- 【에코저널=서울】오전을 마무리하고, 오후에는 식당에서 가까운 천관산 입구 장천재로 향한다. ‘호남제일지제영산(湖南第一支提靈山)’인 천관산(...
- 2025-06-28
-
- <와야(瓦也) 연재>정남진전망대 안중근 동상은 어떤 연유?
- 【에코저널=서울】회진면 신상리는 정남진방조제에서 관산읍 삼산리로 이어진다. 관산읍(冠山邑)은 북·서·남쪽이 해발고도 300∼500m의 구릉성 산지로 둘러싸...
- 2025-06-22
-
- <와야(瓦也) 연재>장흥군 신상리 ‘독립자금헌성기념탑’
- 【에코저널=서울】‘노력도(老力島)’는 장사리(지금의 장산리)가 뱀 형상이고, 죽도가 너구리 형국이었는데 뱀이 너구리를 잡아먹으러 오다가 이 섬에...
- 2025-06-21
-
- <와야(瓦也) 연재>충무공, 군함 12척 인수한 ‘회진항’
- 【에코저널=서울】‘회진항(會鎭港)’은 전라남도 장흥군 회진면 회진리에 있는 국가 어항이다. 조선시대에는 ‘회령포’라 불렸다. 충무공 이순...
- 2025-06-15
-
- <와야(瓦也) 연재>이청준 소설 ‘눈길’의 배경지 진목마을
- 【에코저널=서울】장흥 땅에 들어서니 천관산이 한눈에 들어온다. 천관산은 장흥군 관산읍과 대덕읍 경계에 있는 산으로, 천풍산(天風山), 지제산(支提山)이...
- 2025-06-14
-
- <와야(瓦也) 연재>서남부 해안 최남단 미항 ‘마량항’
- 【에코저널=서울】국가1종어항인 마량항(馬良港)은 우리나라 서남부 해안 최남단에 위치한 미항(美港)이다. 1417년 조선 태종 때 마두진이 이곳에 설치돼 만호...
- 2025-06-08
-
- <와야(瓦也) 연재>고영완 고택·송백정·마도진성
- 【에코저널=서울】억불산의 끌림에 산 아래에 있는 장흥읍 평화리 상선약수마을의 풍경 속으로 빨려든다. 상선약수(上善若水)는 “최고의 선은 물과 같다&...
- 2025-06-07
-
- <와야(瓦也) 연재>정남진 장흥의 명산 ‘억불산’
- 【에코저널=서울】서울 광화문을 중심으로 정동쪽으로 정동진이 있다. 북쪽의 가장 추운지방인 중강진과 일직선상에 위치한 정남쪽의 가장 따뜻한 남쪽지방...
- 2025-06-01
-
- <와야(瓦也) 연재>고려청자 대표 문양은 ‘학·구름’
- 【에코저널=서울】푸른빛 도자기 청자가 우리 땅에서 제작된 때는 신라 말에서 고려로 이어지는 9~10세기다. 당시 청자는 찻잔으로 사용하는 완(사발)이 대부...
- 2025-05-31
-
확대이미지 영역
-
오대산 ‘복수초’ 개화…봄 ‘성큼’
-
‘동해 품은 독도’ 촬영하는 박용득 사진작가
-
<포토>‘어도를 걸을 때’
- 최신뉴스더보기
-
-
- 김동연 경기도지사, 옹벽 붕괴 우려 주택 현장점검
- 【에코저널=수원】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지난 15일 최근 집중호우로 옹벽에 금이 가 붕괴가 우려되는 수원시 장안구 파장동의 다세대주택 현장을 찾아 신속한 조치와 이재민 지원을 지시했다. 이날 오전 제80주년 광복절 경축식 후 관계자들과 오찬을 함께한 김동연 지사는 곧바로 현장을 방문해 균열이 일어난 옹벽을 살펴봤다 김 지사는 &ld...
-
- 서울시, 열기 낮추는 ‘작은 숲’ 옥상정원 확충
- 【에코저널=서울】여름철 건물 온도는 낮춰주고, 겨울철 단열로 에너지 소비를 절감시키는 효과가 있는 ‘옥상정원’. 서울시는 올해에도 노원구 월계도서관, 은평구 구립예가어린이집, 강동구 온조대왕문화체육관 3곳, 모두 1013㎡ 규모의 옥상정원 조성을 완료했다. 하반기에는 보라매병원 등 3곳에 1214㎡의 옥상정원을 조성한다. ...
-
- 유엔 플라스틱오염 국제협약 INC-5.2 결렬
- 【에코저널=서울】스위스 제네바에서 8월 5일부터 15일까지 열린 플라스틱 오염 대응 국제협약 성안을 위한 제5차 정부간협상위원회 추가협상회의(INC-5.2)가 마지막 까지 치열한 협상에도 불구하고, 협약 문안 타결에 이르지 못하고 종결됐다. 당초 회의는 14일 료 예정이었으나, 마지막까지 협상이 지속되면서 기한을 넘겨 15일 오전 9시에 종.
-
- <와야(瓦也) 연재>이순신 장군 성품 담은 고흥 ‘청렴광장’
- 【에코저널=서울】지죽도에서 나와 도착한 곳은 고흥군 도화면 구암리다. 도화면(道化面)은 고려시대 도화현이었다가 조선 세종 때 흥양현에 속했으며, 조선말 흥양군 도화면이 됐고,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는 고흥군이 됐다. 북쪽은 풍양면과 포두면에 접하고, 3면은 남해바다에 접한다. 면(面)의 중앙에 동서남북으로 통하는 계곡이 ...
-
- 석유관리원, ‘바이오연료 표준화 포럼’ 개최
- 【에코저널=서울】한국석유관리원은 14일 노보텔 앰배서드 강남 회의실에서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의 ‘국가표준기술력향상사업’의 일환으로 ‘바이오연료 표준화 포럼’ 2025년 전체 회의(1차)를 개최했다. 이번 회의에서는 정부의 바이오연료 보급 확대 정책에 따라 ▲해운 분야의 바이오연료 국가표준 개발 현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