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와야(瓦也) 연재>충남 사찰 대본산 공주 ‘마곡사’
- 【에코저널=서울】요즘은 도사가 아니라도 축지법(縮地法)을 자주 쓴다. 교통이 발달됐기 때문이다. 논산의 사계종가에서 공주 마곡사까지 60㎞ 이상 거리를 ...
- 2025-01-05
-
- <와야(瓦也) 연재>학자 많이 배출한 ‘사계(沙溪)’ 가문
- 【에코저널=서울】김장생이 타계한 후 제자와 문인들이 만든 돈암서원책판(遯巖書院冊版) 등 여러 자료가 남아 있다. 현재까지 잘 보호·관리되고 있다. ...
- 2025-01-04
-
- <와야(瓦也) 연재>서인·노론계 대표하는 ‘돈암서원’
- 【에코저널=서울】동가식서가숙(東家食西家宿) 아니 서가식동가숙(西家食東家宿)이다. 어제 저녁 서쪽의 충남 서천(舒川)에서 식사를 하고, 동쪽에 있는 논산...
- 2024-12-29
-
- <와야(瓦也) 연재>이곡·이색 부자 배향 ‘문헌서원’
- 【에코저널=서울】등 뒤로 찬바람을 느끼며 발길은 다시 충청남도 서천에 있는 문헌서원으로 옮긴다. 이런 것을 ‘일모도원(日暮途遠)’이라고 하는 걸...
- 2024-12-28
-
- <와야(瓦也) 연재>마을 중앙에 위치한 ‘무성서원’
- 【에코저널=서울】전북 정읍시 칠보면 무성리 원촌마을에 있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된 9개 서원 중 유일하게 마을 한가운데 있는 곳이 ‘무성서원(...
- 2024-12-22
-
- <와야(瓦也) 연재>구름 속에서 참선하는 ‘선운사’
- 【에코저널=서울】선운사는 1318년(고려 충숙왕 5)과 1354년(공민왕 3)에 효정선사가 중수했으나, 폐찰됐다. 1483년(조선 성종 14)에는 행호선사(幸浩禪師)가 쑥대...
- 2024-12-21
-
- <와야(瓦也) 연재>반성한 도적 소금 구며 살던 ‘검단리’
- 【에코저널=서울】고창읍성에서 쫓기듯 선운사로 이동해 ‘도솔산선운사(兜率山禪雲寺)’ 편액이 걸린 일주문 앞에 당도한다. 일주문 당도하기 전에 ...
- 2024-12-15
-
- <와야(瓦也) 연재>왜구 침입 대응해 쌓은 ‘고창읍성’
- 【에코저널=서울】전라북도 서남부 끝에 자리한 고창(高敞)은 보리고을을 상징하는 모량부리의 속명인 ‘모양현(牟陽縣)’으로도 불렀다. 고창은 선운...
- 2024-12-14
-
- <와야(瓦也) 연재>서원 철폐에도 무사했던 ‘필암서원’
- 【에코저널=서울】2019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필암서원(筆巖書院)은 황룡면 필암리에 있는 서원이다. 호남 지방의 유종(儒宗)으로 추앙받는 하...
- 2024-12-08
-
- <와야(瓦也) 연재>만연사, 조선 왕실 복 빌던 ‘자복사’
- 【에코저널=서울】흑산도에서 목포에 도착하자마자 자동차가 쉬지 않고 달려 도착한 곳은 광주와 전남이 공동으로 2014년 조성한 혁신도시인 전라남도 나주시...
- 2024-12-07
-
- <와야(瓦也) 연재>흑산도 ‘홍어삼합’, 미식가 유혹
- 【에코저널=서울】오늘은 흑산도로 가는 날이다. 새벽 어둠을 뚫고 양산봉 자락에 있는 일출전망대에 올랐으나, 구름이 가려 태양의 알몸을 보기 힘들었다. ...
- 2024-12-01
-
- <와야(瓦也) 연재>풍어 빌었던 홍도 ‘청어미륵’
- 【에코저널=서울】홍도는 사암과 규암의 층리(層理)와 절리(節理)가 잘 발달돼 섬 전체가 홍갈색을 띠고 있다. 파식애(波蝕崖)와 파식대(波蝕臺) 등 해식단애(...
- 2024-11-30
-
- <와야(瓦也) 연재>가야금 선율 느끼는 홍도 ‘실금리 동굴’
- 【에코저널=서울】국도 제1호선과 제3호선의 기종점이 되는 목포(木浦)는 역시 항구(港口)다. 유달산(儒達山, 228m) 노적봉 아래에서 단잠을 자고 홍도로 가기...
- 2024-11-24
-
- <와야(瓦也) 연재>추사가 사과한 ‘대흥사 대웅전 현판’
- 【에코저널=서울】대흥사는 백제시대에 창건된 유서 깊은 도량으로 두륜산의 수려한 절경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대흥사의 원래 이름은 ‘대둔사’였는데, ...
- 2024-11-23
-
- <와야(瓦也) 연재>초의선사, 진리 찾아 정진한 ‘일지암’
- 【에코저널=서울】보성 녹차밭을 둘러보고 우리나라 다성(茶聖)으로 추앙받던 초의선사가 계셨던 대흥사로 가는 것도 불가(佛家)에서 말하는 인연(因緣)인가?...
- 2024-11-17
-
- <와야(瓦也) 연재>낙안읍성 밖 ‘순천시립뿌리깊은박물관’
- 【에코저널=서울】낙안읍성 마을은 옛 모습 그대로를 지키고 있는 전통마을이다. 108세대가 실제로 생활하고 있어 남부지방 특유의 주거양식을 볼 수 있다. 부...
- 2024-11-16
-
- <와야(瓦也) 연재>임경업 장군 누님의 사랑과 배려 ‘낙안읍성’
- 【에코저널=서울】초가지붕 위로 얹힌 박이 탐스럽고, 저녁이면 하얀 연기 몽글몽글 피어오르는 우리들의 옛 고향. 이같은 정취가 새삼 떠오르는 마을이 있...
- 2024-11-10
-
- <와야(瓦也) 연재>필요 없는 것 버리는 ‘무소유’
- 【에코저널=서울】범종이 울리고 나면 법당에서 예불이 시작된다. 먼저 범종소리를 받아 법당 안의 작은 종을 크고 성근 소리부터 작고 낮은 소리로 한 번 내...
- 2024-11-09
-
- <와야(瓦也) 연재>부처님 가르침 전하는 ‘법고’
- 【에코저널=서울】대웅보전은 송광사의 중심 건물이다. 1951년의 화재로 재가 된 뒤 1961년에 주지 금당(金堂)이 중창됐다. 그 당시에는 내부에 비로자나불(毘盧...
- 2024-11-03
-
- <와야(瓦也) 연재>승보사찰 ‘송광사’…16국사 배출
- 【에코저널=서울】고향수와 바로 인접해 있는 곳에는 ‘관욕소(灌浴所)’라는 시설이 있다. 왼쪽이 세월각(洗月閣)이고, 오른쪽은 척주당(滌珠堂)이다. 관욕...
- 2024-11-02
-
확대이미지 영역
-
오대산 ‘복수초’ 개화…봄 ‘성큼’
-
‘동해 품은 독도’ 촬영하는 박용득 사진작가
-
<포토>‘어도를 걸을 때’
- 최신뉴스더보기
-
-
- 김동연 경기도지사, 옹벽 붕괴 우려 주택 현장점검
- 【에코저널=수원】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지난 15일 최근 집중호우로 옹벽에 금이 가 붕괴가 우려되는 수원시 장안구 파장동의 다세대주택 현장을 찾아 신속한 조치와 이재민 지원을 지시했다. 이날 오전 제80주년 광복절 경축식 후 관계자들과 오찬을 함께한 김동연 지사는 곧바로 현장을 방문해 균열이 일어난 옹벽을 살펴봤다 김 지사는 &ld...
-
- 서울시, 열기 낮추는 ‘작은 숲’ 옥상정원 확충
- 【에코저널=서울】여름철 건물 온도는 낮춰주고, 겨울철 단열로 에너지 소비를 절감시키는 효과가 있는 ‘옥상정원’. 서울시는 올해에도 노원구 월계도서관, 은평구 구립예가어린이집, 강동구 온조대왕문화체육관 3곳, 모두 1013㎡ 규모의 옥상정원 조성을 완료했다. 하반기에는 보라매병원 등 3곳에 1214㎡의 옥상정원을 조성한다. ...
-
- 유엔 플라스틱오염 국제협약 INC-5.2 결렬
- 【에코저널=서울】스위스 제네바에서 8월 5일부터 15일까지 열린 플라스틱 오염 대응 국제협약 성안을 위한 제5차 정부간협상위원회 추가협상회의(INC-5.2)가 마지막 까지 치열한 협상에도 불구하고, 협약 문안 타결에 이르지 못하고 종결됐다. 당초 회의는 14일 료 예정이었으나, 마지막까지 협상이 지속되면서 기한을 넘겨 15일 오전 9시에 종.
-
- <와야(瓦也) 연재>이순신 장군 성품 담은 고흥 ‘청렴광장’
- 【에코저널=서울】지죽도에서 나와 도착한 곳은 고흥군 도화면 구암리다. 도화면(道化面)은 고려시대 도화현이었다가 조선 세종 때 흥양현에 속했으며, 조선말 흥양군 도화면이 됐고,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는 고흥군이 됐다. 북쪽은 풍양면과 포두면에 접하고, 3면은 남해바다에 접한다. 면(面)의 중앙에 동서남북으로 통하는 계곡이 ...
-
- 석유관리원, ‘바이오연료 표준화 포럼’ 개최
- 【에코저널=서울】한국석유관리원은 14일 노보텔 앰배서드 강남 회의실에서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의 ‘국가표준기술력향상사업’의 일환으로 ‘바이오연료 표준화 포럼’ 2025년 전체 회의(1차)를 개최했다. 이번 회의에서는 정부의 바이오연료 보급 확대 정책에 따라 ▲해운 분야의 바이오연료 국가표준 개발 현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