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와야(瓦也) 연재>의병장 낙포 이종문 세운 ‘하목정’
- 【에코저널=서울】지난번 도보 끝 지점이었던 동정천(同廷川)이 합류하는 낙동강은 변함없이 물 흐름이 느리고, 물이 멈춘 곳에는 녹조(綠藻)가 성하다.다리...
- 2022-12-11
-
- <와야(瓦也) 연재>사육신 중 유일하게 후손 살아난 ‘박팽년’
- 【에코저널=서울】덕포대교와 반지천(磻旨川)을 지난다. 다리 밑은 어김없는 쉼터였고, 우리의 모습은 그늘을 찾아 길을 떠나는 순례자와 같다.경부선 KTX 낙...
- 2022-12-10
-
- <와야(瓦也) 연재>여헌 장현광 배향하는 ‘동락서원’
- 【에코저널=서울】이른 조반을 마치고, 구미시의 1공단과 2·3·4공단을 연결하는 구미대교 밑 낙동강 동안(東岸)에 있는 동락서원으로 이동한다.동락...
- 2022-12-04
-
- <와야(瓦也) 연재>금오서원 ‘원계칠조’의 교훈
- 【에코저널=서울】경상북도기념물 제60호(1985년10월15일)인 금오서원(金烏書院)은 고려 말 학자 야은 길재(冶隱 吉再, 1353∼1419)의 학문과 충절을 기리기 위해 ...
- 2022-12-03
-
- <와야(瓦也) 연재>주인 구한 개 잠든 ‘의구총’
- 【에코저널=서울】도개면(桃開面)은 구미시 최북단에 있는 지역으로 신라불교 최초 전래지로서 도를 열었다고 해서 ‘도개면(桃開面)’이라고 부른다. ...
- 2022-11-27
-
- <와야(瓦也) 연재>남매 경쟁설 담은 ‘죽장동오층석탑’
- 【에코저널=서울】점심은 구미시 선산읍에 와서 하고 한낮 무더위를 피해서 죽장사로 향한다. 죽장사(竹長寺)는 신라 때 창건됐으나, 이후의 연혁은 전하지 ...
- 2022-11-26
-
- <와야(瓦也) 연재>서원철폐령으로 사라졌던 ‘낙암서원’
- 【에코저널=서울】조반을 끝내고 사벌국(沙伐國) 왕의 능으로 전해지는 ‘전사벌왕릉(傳沙伐王陵)’이 있는 사벌면 화달리로 일찍 이동한다. 경북도기...
- 2022-11-20
-
- <와야(瓦也) 연재>상주, ‘삼백(三白)’의 고장
- 【에코저널=서울】상주는 경상도(慶尙道) 명칭을 경주(慶州)와 상주(尙州)에서 한자씩 따와서 지은 것만 봐도 이 고을의 역사적 비중을 짐작할 수 있다. 백두...
- 2022-11-19
-
- <와야(瓦也) 연재>육지 속 섬마을 ‘회룡포’
- 【에코저널=서울】내성천이 끼고 흐르는 회룡포를 관망하는 회룡대로 가기 위해서는 비룡산(飛龍山)을 넘어야 하고, 장안사(長安寺)를 거쳐야 한다.예천군 용...
- 2022-11-13
-
- <와야(瓦也) 연재>선비나무·학자수로 불리는 회화나무
- 【에코저널=서울】내친김에 모래로 유명한 내성천변의 선몽대로 이동한다. ▲선몽대.명승 제19호로 지정된 선몽대(仙夢臺)는 1563년...
- 2022-11-12
-
- <와야(瓦也) 연재>우리나라 최초 백과사전 ‘대동운부군옥’
- 【에코저널=서울】낙동강 답사를 위해 연속 이틀을 잔 곳이 예천(醴泉)이다.예천은 유교경전 중 하나인 예기(禮記)에 나오는 구절 ‘天降甘露 地出醴泉(천...
- 2022-11-06
-
- <와야(瓦也) 연재>하회마을 지형 ‘연화부수형(蓮花浮水形)’
- 【에코저널=서울】병산서원에서 하회마을로 이어지는 십리길(4㎞)은 학동들이 호연지기(浩然之氣)하며 거닐던 길이었다. 유교문화길(2코스 화회마을길) 중 가...
- 2022-11-05
-
- <와야(瓦也) 연재>병산서원 복례문, ‘극기복례’ 가르침
- 【에코저널=서울】경북 예천읍에서 눈을 뜨고 안동시 풍산으로 길을 찾아 나선다. 한참을 이동해 도착한 곳은 세 번째 끝 지점이었던 남후면 계곡리에서 서안...
- 2022-10-30
-
- <와야(瓦也) 연재>낙동강과 반변천 만나는 ‘정하동’
- 【에코저널=서울】임청각을 나와 다시 낙동강을 따라 걷는다. 법흥교 아래로 내려와 하류 쪽으로 조금만 내려오면 낙동강이 반변천과 만나는 지점이 정하동(...
- 2022-10-29
-
- <와야(瓦也) 연재>임청각, 삼대 걸쳐 독립유공자 배출
- 【에코저널=서울】물가로 길을 잘 만들어 놓아 데크를 타고 월영교로 향한다. 월영교(月映橋)는 안동댐 밑으로 상아동과 성곡동을 연결하는 길이 387m에 폭 3.6m...
- 2022-10-23
-
- <와야(瓦也) 연재>퇴계 제자 김성일과 임진왜란
- 【에코저널=서울】어제 시간을 맞추지 못해 들르지 못한 도산서원이 눈에 밟히지만, 이른 아침에 짬을 내어 임하면 천전리에 있는 안동 의성김씨 종택(安東 ...
- 2022-10-22
-
- <와야(瓦也) 연재>퇴계 이황 며느리, 사후에도 효도
- 【에코저널=서울】농암종택은 농암(聾巖) 이현보(李賢輔 1467∼1555)의 종택(宗宅)이다. 이현보는 1504년(연산군 10)에 사간원정언으로 있다가 임금의 노여움을 ...
- 2022-10-16
-
- <와야(瓦也) 연재>뿔 셋 소와 청량사 ‘삼각우송’
- 【에코저널=서울】들어가는 입구가 공사 중이라 지난번에 지나쳤던 청량산(淸凉山, 870m)을 향해 조반 숟가락을 놓자마자 출발한다. 버스로 입석대까지 이동해...
- 2022-10-15
-
- <와야(瓦也) 연재>안동 청량산 가송협 자락 ‘고산정’
- 【에코저널=서울】시발점테마공원부터 청량산 입구까지 9.1㎞는 봉화의 ‘예던길’로 명명됐다. 원래 예던길은 퇴계 이황(退溪 李滉, 1501∼1570)이 숙부...
- 2022-10-09
-
- <와야(瓦也) 연재>낙동강 공식 시발점은 ‘황지’
- 【에코저널=서울】강행군은 깊은 잠을 자게 한다. 맑은 물이 흐르는 현동천 옆에 자리한 무진랜드는 봉화군 소천면 고진리 주민들이 숙박시설 등 편의시설을 ...
- 2022-10-08
-
확대이미지 영역
-
오대산 ‘복수초’ 개화…봄 ‘성큼’
-
‘동해 품은 독도’ 촬영하는 박용득 사진작가
-
<포토>‘어도를 걸을 때’
- 최신뉴스더보기
-
-
- 김동연 경기도지사, 옹벽 붕괴 우려 주택 현장점검
- 【에코저널=수원】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지난 15일 최근 집중호우로 옹벽에 금이 가 붕괴가 우려되는 수원시 장안구 파장동의 다세대주택 현장을 찾아 신속한 조치와 이재민 지원을 지시했다. 이날 오전 제80주년 광복절 경축식 후 관계자들과 오찬을 함께한 김동연 지사는 곧바로 현장을 방문해 균열이 일어난 옹벽을 살펴봤다 김 지사는 &ld...
-
- 서울시, 열기 낮추는 ‘작은 숲’ 옥상정원 확충
- 【에코저널=서울】여름철 건물 온도는 낮춰주고, 겨울철 단열로 에너지 소비를 절감시키는 효과가 있는 ‘옥상정원’. 서울시는 올해에도 노원구 월계도서관, 은평구 구립예가어린이집, 강동구 온조대왕문화체육관 3곳, 모두 1013㎡ 규모의 옥상정원 조성을 완료했다. 하반기에는 보라매병원 등 3곳에 1214㎡의 옥상정원을 조성한다. ...
-
- 유엔 플라스틱오염 국제협약 INC-5.2 결렬
- 【에코저널=서울】스위스 제네바에서 8월 5일부터 15일까지 열린 플라스틱 오염 대응 국제협약 성안을 위한 제5차 정부간협상위원회 추가협상회의(INC-5.2)가 마지막 까지 치열한 협상에도 불구하고, 협약 문안 타결에 이르지 못하고 종결됐다. 당초 회의는 14일 료 예정이었으나, 마지막까지 협상이 지속되면서 기한을 넘겨 15일 오전 9시에 종.
-
- <와야(瓦也) 연재>이순신 장군 성품 담은 고흥 ‘청렴광장’
- 【에코저널=서울】지죽도에서 나와 도착한 곳은 고흥군 도화면 구암리다. 도화면(道化面)은 고려시대 도화현이었다가 조선 세종 때 흥양현에 속했으며, 조선말 흥양군 도화면이 됐고,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는 고흥군이 됐다. 북쪽은 풍양면과 포두면에 접하고, 3면은 남해바다에 접한다. 면(面)의 중앙에 동서남북으로 통하는 계곡이 ...
-
- 석유관리원, ‘바이오연료 표준화 포럼’ 개최
- 【에코저널=서울】한국석유관리원은 14일 노보텔 앰배서드 강남 회의실에서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의 ‘국가표준기술력향상사업’의 일환으로 ‘바이오연료 표준화 포럼’ 2025년 전체 회의(1차)를 개최했다. 이번 회의에서는 정부의 바이오연료 보급 확대 정책에 따라 ▲해운 분야의 바이오연료 국가표준 개발 현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