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종유전자원 왜 중요한가
기사 메일전송
토종유전자원 왜 중요한가
  • 기사등록 2006-03-14 15:34:09
  • 기사수정 2023-11-18 00:23:38
기사수정

농촌진흥청은 지난 1987년 종자은행을 설립한 이래 현재 식량작물, 특용작물, 원예작물 등 총 1777종 약 15만2천점의 소중한 유전자원을 국내외에서 수집, 도입해 종자은행에 보존 관리하고 있다.


이러한 토종자원은 국제 식물유전자원 조약에 의거해 전통자원의 지식재산권 부여추세에 따라 자원 주권 주장의 근거 실체로 그 가치가 매우 크다. 이러한 토종 자원의 종자 또는 식물체에는 토종고유의 독특한 기능성, 고품질특성 등을 보유하는 자원이 있어 육종재료와 농가소득 창출원으로 작용한다.

생물다양성협약('93. 12. 29)은 각국의 모든 생물다양성에 대한 배타적 소유권을 인정하고 있으며 각국의 생물다양성의 보전과 농가보존(OFM) 프로그램을 설립하거나 정책을 강화할 것을 의무화하고 있다.


라이프지히 선언('96. 6)에서도 식량농업에 관한 식물유전자원의 현지내 보존을 위한 자연보호구역 지정, 농가보존 및 가정 정원 보존을 우선적 행동으로 설정한 바 있다. 이 선언에서 재래종의 소멸로 인한 심각한 유전적 침식을 우려하고 토종의 농가보존은 농업인의 지속적인 선발에 의한 지역적응성 향상과 유전인자의 진화를 위한 역동적인 유전자원의 보존방법임을 강조했다.


우리나라는 20세기 후반부터 산업이 급속도로 발전하면서 수천년 농가에서 재배해온 토종의 재배 경향은 육성품종 또는 외래종의 도입으로 우리의 토종이 재배 종자터전이 소외돼 재래종이 심하게 소멸됐다.


조사에 의하면 지난 '85년 대비 '93년 29.3%, '00년 13.8%의 토종작물의 품종만이 재배되고 있었기 때문에 농가 현지에서의 토종의 보존은 대단히 시급한 상황에 이르렀다.


현재 세계적으로 국제식물유전자원연구소가 주관해 작물의 원산지 국가 중심 멕시코, 부르키나파소, 에티오피아, 헝가리, 모로코, 네팔, 페루, 터키, 베트남 등 9개국을 대상으로 토종의 농가보존에 의한 농업생물다양성의 농가 현지 보존 연구를 추진중이다. 우리나라는 농가 현지의 토종의 소멸속도가 급진적이어서 이에 대한 대비가 시급한 실정이다.


우리의 토종이 미국, 일본, 러시아 등 많은 국가에 유출돼 21세기 유전자원 전쟁의 시대를 맞아 유출된 자원을 되찾고 FAO 식량·농업유전자원 국제법 발효에 대비해 토종 유전자원의 주권확보로 벼, 콩, 보리 등 중요한 작물의 농업적 형질에 대한 특성 평가와 함께 핵산지문(DNA finger printing)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해야 할 것이다.


또한, 잡곡종자나 채소종자도 앞으로 DNA Bank구축과 함께 초고밀도 핵산지문데이터베이스구축 연구사업에 집중적으로 투자해 우리 토종종자 자원에 대해 국제적으로 종자주권을 주장할 수 있는 과학적 근거를 추가적으로 확보해 나가야 한다.


토종은 우리 선조가 물려준 가장 큰 유산중의 하나다. 그 중에서도 작물토종은 유사 이래로 우리 선조의 생명을 유지하였고 후손을 이 한반도에 뿌리내리게 해 먹거리를 제공했던 우리의 생명과 뗄 수 없는 전통자원이다.


토종은 수만, 수천, 수 백년을 한반도 고유의 기후와 환경에 적응하면서 진화되고 퇴화되면서 농업인들의 손에 의해 인위적, 자연적 선발과 퇴화로 한반도에 잘 적응되는 재래 전통작물로 정착했다. 따라서 토종은 지금 농촌에서 재배되고 있는 많은 작물들의 새로운 품종 개발 기본 재료이거나 품종 그 자체가 됐다.


국내 보유하고 있는 우리 유전자원의 보존과 토종 유전자원 주권 확보로 자연을 살리고 우리 농업을 국제 경쟁력이 있는 토종 농업으로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국가적으로 중요한 핵심자원에 대한 DNA를 지속적으로 구축해 토종유전자원을 비롯한 우리 핵심 유전자원보호에 최선의 노력을 다해야 할 것이다.


글/김태산 과장(농업생명공학연구원 유전자원과)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06-03-14 15:34:09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오대산 ‘복수초’ 개화…봄 ‘성큼’
  • ‘동해 품은 독도’ 촬영하는 박용득 사진작가
  • <포토>‘어도를 걸을 때’
최신뉴스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