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소각장 주민투표 놓고 ‘갈등‘
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강남소각장 공동이용 여부를 묻는주민투표 시행을 놓고 찬반 양론이 벌어지고 있다.


강남소각장은 서울시가 1,010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지난 '00년 4월 완공했으나 서울시, 강남구, 주민협의체간 합의 지연으로 설립 7개월 뒤에야 쓰레기 반입이 이뤄졌다. 이후에도 몇 차례 쓰레기 반입중지, 주민들에 의한 고소, 고발 사건이 이어졌다. 특히 서울시가 운영적자를 이유로 광역화를 추진하면서 주민들과의 골은 더욱 깊어졌다.


서울시는 작년 12월, '자원회수시설설치촉진및주변지역지원등에관한조례'를 개정했으며 금년 7월 1일부터 시행에 들어가겠다는 방침이다. 또 서울시와 일원소각장 주민협의체는 오는 12일 일원소각장 공동이용 추진을 위한 최종협약안에 대해 주민투표를 실시할 예정이다.


이에 대해 강남·서초환경운동연합과 자원순환시민연대는 "서울시가 타당한 근거 없이 모든 피해 주민의 범위를 300m 이내로만 보는 것이 문제"라며 "카이스트의 연구에 의하면 오히려 500m 주변의 주민들 피해가 크다"는 연구결과를 제시했다. 또 "강남소각장의 소각용량 증가에 따른 환경영향 평가에 주민들의 참여도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들 단체는 "투표인 명부도 작성되지 않은데다 투표 방법과 유효투표 여부 등이 정확하게 정해지지 않은 채 투표를 강행하려 하고 있다"며 반발하고 있다.


단체는 또, "서울시가 원활한 소각장 운영을 원한다면 주민들의 안전보장 장치를 제대로 마련하고 인근 주민건강진단을 실시하는 등 주민을 설득·협상하는데 많은 시간을 할애해야 한다"면서 "주민의 의사를 무시하거나 밀실 행정으로 일관한다면 소각행정에 더 큰 불신을 가져올 것"이라고 주장했다.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06-03-10 17:39:42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동해 품은 독도’ 촬영하는 박용득 사진작가
  • <포토>‘어도를 걸을 때’
  • 설악산국립공원 고지대 상고대 관측
최신뉴스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