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봉기 기자
친환경농산물의 체계적인 생산과 사후관리를 보다 효율적으로 지원해 나가기 위해 민간중심의 지원체계가 구축된다.
1일 전라남도에 따르면 이달 중에 도내 22개 시·군 친환경농업 실천단지를 대상으로 친환경농산물의 체계적인 생산에 필요한 기술지도를 위해 '친환경농업 도우미'를 지정·운영한다. 아울러 소비자 등의 신뢰확보를 위한 사후관리를 위해 '친환경농산물 명예 감시원제'도 도입·시행하기로 했다.
'친환경농업 도우미'는 친환경농업 실천단지 농가 중 무농약 이상 단계의 선도농가 1,500여명을 선발해 지정하게 된다.
이에 따라 도우미 1명이 신규 참여농가 15∼20명을 대상으로 영농일지 기록, 인증신청서 작성, 친환경농자재 사용요령, 재배기술 등에 있어 주요 영농단계별로 책임지도를 실시하게 된다.
'친환경농산물 명예감시원'은 시군당 3∼4명씩 총 75명 정도를 지정·운영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과 협조해 월 2회 이상 관내를 순회하면서 친환경농산물 인증포장을 대상으로 재배작물의 생육상태, 제초제 사용여부, 농약·화학비료 등 사용이 금지된 농자재의 사용여부, 병해충 등으로 인한 피해발생 여부 등에 대해 중점적으로 확인과 지도를 하게 된다. 특히 친환경농산물 인증 및 사후관리가 실질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해 나갈 방침이다.
양규성 전남도 친환경농업과장은 "친환경농산물 인증면적이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민간중심의 지속적인 기술지원 및 관리체계를 구축해 나감으로써 영농과정에서의 어려움을 최소화하고 보다 안전하고 품질 좋은 농산물을 생산해 소비자들로부터 신뢰를 확보해 나가도록 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