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정성 기자
일회성 황사대책보다는 환경부가 주도하는 범정부적 차원의 (가칭)황사대책위원회를 구성, 국가적 차원의 적극적인 대처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국회 환경노동위 소속 국회 배일도 의원(한나라당, 비례대표)은 14일 환경부 현안보고에서 환경부 및 정부의 황사대책에 대해 강하게 질타하고 이같은 대안을 제시했다.
기상청 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황사피해는 지난 '02년 기준으로 기관지 질환, 감기, 천식 등 호흡기 질환을 포함해 잠재적인 국민건강 피해액이 약 20조원에 이를 만큼으로 심각한 수준이다. 이는 지난 '03년 태풍피해로 입은 피해액 약 8조원과 비교하면 엄청난 금액이다.
배일도 의원은 "우리정부의 황사 대책은 규모와 계획, 내용 면에서 초보적인 수준이고 심각성도 의식하지 못하고 있다"면서 "우리나라의 중국과 황사관련 정보공유는 기초 수준이며 몽골지역은 전무하다"고 밝혔다.
배 의원은 또 "우리나라 국민들의 황사피해에 대처하기 위해선 근원적 해결방법인 사막화 방지를 위해 범국민적인 사막지역 식림활동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