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보름날 외래어종 방생 ‘안돼요‘
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방생이 많이 이뤄지는 정월대보름을 맞아 오는 11·12일 양일간 한강일대에서 방생 지도·단속이 이뤄진다.


한강에 수생동물을 방생하려면 어종별 특성에 따라 방생 시기 및 장소, 품종을 적정하게 선택해야 생태계 피해를 막을 수 있다.


서울시한강시민공원사업소는 한강 수중 생태계를 파괴하는 생태계 교란 외래어종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 방생 지도·단속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이번 지도·단속은 한강시민공원사업소와 (사)녹색환경운동 등 3개 시민단체 합동으로 실시할 예정이다. 한강시민공원 12개 지구사무소에서도 자체 단속반을 편성, 단속활동을 실시해 생태계 교란동물의 한강 유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예정이다.


주요 지도·단속대상은 야생동·식물보호법에의해 생태계교란야생동물로 지정된 외래어종(붉은귀거북, 큰입배스, 파랑볼우럭, 황소개구리)과 한강 생태계 교란 우려가 있는 어종(13종)이다. 지도·단속과 함께 방생 금지어종을 소개하는 안내문을 배포해 시민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할 계획이다.


과거 방생용으로 많이 사용됐던 붉은귀거북(청거북)과 블루길, 배스, 황소개구리 등 생태계교란야생동물로 지정된 수생동물을 한강에 방생할 경우 대량으로 번식될 가능성이 높아 방생하지 말아야 한다. 자연환경에 노출시키는 행위가 적발되면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이하의 벌금이 부과된다.


방생은 한강에서 생산(포획)된 안전한 품종을 방생해야 하며 정월대보름이 속해 있는 2월의 한강 평균수온은 2∼5℃로 수온이 낮아 시중에서 유통되고 있는 양식산 수생동물을 방생할 경우 자연상태에서 생존할 확률이 적다. 따라서 방생의 참된 의미를 되살리기 위해서는 이 시기에 방생을 자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시장에서 식용으로 판매되는 외래어종은 이식승인을 받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질병 검사를 거치지 않아 안전하지도 않다. 방생용으로 많이 사용하는 미꾸라지는 시중에 유통되는 것이 대부분 중국산이고 한강(본류)에서의 서식 조건도 맞지 않아 자연 폐사되는 사례가 많이 발생해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한강시민공원사업소 관계자는 "외래어종 방생 집중단속과 함께 한강에 서식하는 생태계교란야생동물을 포획·퇴치할 방침"이라며 "한강에 버려질 우려가 높은 애완용 붉은귀거북을 사전에 수거하는 등 한강 수중 생태계 보전을 위해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일 예정"이라고 말했다.


◆방생금지 품종 및 생태계 교란 우려 어종


방생 금지품종(생태계 교란 야생동물 4종)


황소개구리: 우리나라에는 천적이 거의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곤충, 물고기, 토착개구리, 뱀까지 잡아먹는 탐식성 양서류로 생태계 먹이 사슬을 교란할 우려가 있어 방생금지.


붉은귀거북: 미국 미시시피강을 원산지로 하는 육식성 파충류로 토종 물고기 및 개구리 등을 잡아먹는 생태계 포식자다. 국내천적은 전무하고 배설물에 의한 수질악화도 문제다.


블루길: 일명 파랑볼우럭이라고 불리는 미국산 외래종으로 우리의 고유한 자연생태계에 위해를 줄 우려가 있다.


큰임배스: 미국산 외래종으로 우리의 고유한 자연생태계에 위해를 줄 우려가 있어 야생동식물보호법에 의거해 생태계 교란동물로 지정됐다.


생태계 교란(危害) 우려 어종(13종)


이스라엘잉어(향어): 이스라엘에서 양식용으로 들어온 외래종으로 잡종발생에 의한 우리의 고유한 잉어의 유전자를 교란시킬 수 있으며 자연상태에서 생존율이 떨어진다.


떡붕어: 일본이 원산인 외래어종으로 토종붕어의 유전자를 교란시킬 수 있다.


나일틸라피아: 태국에서 도입된 남아프리카 원산 열대어종으로 우리의 기후와 자연환경에 적응하기 힘들고 하절기에 생태계 교란이 우려된다.


철갑상어: 한강과 금강 등 서해안으로 흐르는 하천에 가끔 출현하지만 시중에 판매되는 것은 대부분 러시아산으로 생태계에 피해를 줄 것이 우려된다.


피라니아: 남미 아마존이 원산인 열대어종으로 살아있는 포유동물까지 공격하는 강한 육식성 어종으로 하절기에 자연생태계에 위해를 줄 우려가 높다.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06-02-10 00:50:14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오대산 ‘복수초’ 개화…봄 ‘성큼’
  • ‘동해 품은 독도’ 촬영하는 박용득 사진작가
  • <포토>‘어도를 걸을 때’
최신뉴스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