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태 기자
부산시는 올해 160억원을 투입, 소나무재선충병 방제에 적극 나설 계획이라고 2일 밝혔다.
소나무와 해송에 치명적인 피해를 주고 있는 소나무재선충병이 강원도까지 펴져 전국이 비상에 걸려 있는 상황을 감안해 피해 확산방지와 우량 소나무림 보호로 산림생태계의 건강을 유지한다는 계획이다.
시는 올해 소나무재선충 방제사업에 총력을 기울인다는 방침으로 피해목 제거 및 항공방제, 보호수 등 나무 예방(수간)주사, 예찰조사 및 무단이동단속 등을 확대, 강화할 계획이다.
우선, 소나무재선충 피해목이 발견되면, 확산방지를 위해 즉시 제거하고 소나무재선충 매개충(솔수염하늘소)의 우화(탈피)기 이전인 오는 4월말까지 피해목 제거에 최선을 다할 예정이다. 지난해 소나무재선충 피해목은 40만여본으로 추정되고 있다.
또한, 항공방제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약제를 매프에서 치아클로 프리드로 개선해 양봉농가에 피해가 없도록 할 계획이다. 방제횟수도 작년 3회에서 올해 5회로 증회해 오는 5월부터 7월 사이에 실시하고 방제면적도 2005년 2,600㏊에서 올해 4,213㏊로 66% 확대 실시된다.
이와 함께 보호수 29본 및 녹화사업장 1,742본, 동백공원 및 APEC나루공원 등 13개소 9만5,500본 등 총 9만8천본에 대해 2월말까지 소나무재선충병 예방(수간) 주사도 실시하는 등 부산지역 주요 산지 및 관광명소에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우량 소나무림 보호에 적극 나설 방침이다. 아울러, 예찰원을 최대한 활용해 예찰 조사활동을 강화하고 무단이동 단속도 강화할 계획이다.
이밖에도, 경찰청 및 군부대, 도로관리기관, 환경단체, 언론, 시민단체 등으로 구성된 '재선충병 방제 지역협의회'를 구성·운영해 재선충병의 이해를 넓혀 시민들의 참여를 적극 유도하는 등 지속적인 홍보를 펼쳐 나갈 계획이다.
부산시 관계자는 "산림의 특성상 수익성이 낮아 산주가 방제를 기피해 장기간 방치할 경우, 방제비용 급증 및 산림자원과 생태계 파괴로 또 다른 재해를 유발할 수 있어 산림자원의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지속적인 정부와 시 주도의 방제가 필요하다"면서 "최근 소나무 재선충병의 전국적 발병이 자연적인 확산이 아니라 감염목을 인위적으로 무단 이동함에 따라 발생하였다는 역학조사 결과가 밝혀지면서 소나무류의 무단이동을 금지가 요구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