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태 기자
산업자원부는 올해 신재생에너지 부문에 4,095억원의 예산을 지원할 계획이다. 이는 지난해 3,242억원 대비 26.3%가 증액된 것으로, 부문별로는 신재생에너지 기술개발 1,244억원, 보급사업 1,375억원, 보급융자 1,213억원, 그리고 발전차액 263억원을 각각 지원하게 된다.
22일 산자부에 따르면 기술개발 부문은 상업용 연료전지, 태양전지소재 양산기술개발, 해상풍력 개발 등 미래핵심기술 확보를 위한 대형과제 중심으로 작년대비 32.3%증액된 1,244억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보급사업은 태양광주택 보급사업 490억원, 보급보조사업 280억원, 지역에너지사업 475억원, 신재생에너지테마파크 130억원 등 작년대비 48.9%증액된 1,375억원을 지원된다.
또한, 신재생에너지시설 설치자·생산자를 대상으로 장기저리의 자금지원을 위한 보급융자 부문에는 작년대비 3.7% 증액된 1,213억원이 지원하고 신재생에너지이용 발전전력에 대한 차액지원을 위한 예산은 작년대비 26.4% 증액된 263억원이 지원된다.
특히, 올해부터는 최근 급증하는 전력분야 신재생에너지 소요 예산의 충당을 위해 전력분야는 전력산업기반기금을 활용해 예산이 집행된다. 따라서 에특회계 지원예산은 1,765억원으로 작년 2,886억원보다 줄어들었지만 전력산업기반기금 지원예산은 2,330억원으로 작년 355억원보다 대폭 증액됐다.
산자부 관계자는 "참여정부 출범이후 고유가 상황의 지속, 교토의정서의 발효 등 급격한 에너지 환경변화 속에서 친환경 국산에너지인 신재생에너지의 개발·보급이 시급하다는 판단하에 오는 '11년까지 총 1차 에너지의 5%를 신·재생에너지로 공급한다는 목표를 수립한바 있다"며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지난해에는 '수소경제 마스터플랜'을 수립하고 신재생에너지 전담과를 신설하는 등 제도적인 정비와 함께, 참여정부 출범시 1,193억원이었던 예산규모를 매년 지속적으로 증액시켜 금년에는 4,095억원으로 증액됐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