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정성 기자
친환경 교통수단인 자전거 이용을 보다 활성화해 도시지역의 대기오염을 획기적으로 개선하는데 정부가 앞장선다. 또, 도시, 농어촌, 관광·휴양지 등 지역별 특성에 맞게 자전거 이용 문화를 확산·정착시킬 수 있는 모델도 개발된다.
그간 자전거 이용 활성화를 위해 자전거도로 정비 등의 노력이 일부 지자체별로 시행됐지만 아직도 생활속의 교통수단으로는 정착되지 못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자동차 등록대수는 지난 '90년 339만대(수도권 184만대)에서 '04년에는 1,493만대(수도권 620만대)로 급격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자전거 수송분담율의 경우, '98년 기준으로 일본 25%, 독일 26%, 네덜란드 43% 등에 비해 우리나라는 3%('02년 기준)에 머무르고 있는 실정이다. 네덜란드는 '02년말 현재, 자전거 보유대수 1,780만대로 자전거보유율(자전거 1대당 인구수) 0.9명이다. 독일은 '98년말 기준으로 자전거 보유대수 6,400만대로 자전거보유율이 1.3명에 이른다.
또한, 국내 자동차 등록대수의 급격한 증가로 수도권 등 도시지역의 대기오염이 갈수록 심화되고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책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자동차 급증은 질소산화물(NOx) 등 자동차 배출가스로 인한 대기오염의 심화로 이어져 수도권의 경우, 미세먼지(PM10) 등의 오염도가 OECD 국가중 최하위 수준이다.
이에 따라 환경부는 올해 10억원의 예산을 투입, 자전거 이용을 확산·정착시키기 위한 방안을 다각적으로 강구할 예정이다.
기획예산처 정기준 과학환경재정과장은 "그간 대기오염 심화, 자전거 이용율 저조 등으로 근본적인 개선방안 마련이 필요하다는 의견의 대두돼 왔다"면서 "금년중 전국적인 자전거 이용실태 조사, 해외사례 분석 등을 통해 지역특성별로 적용 가능한 모델을 개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향후 지자체가 자전거이용시설 정비계획 수립·추진시 금번 연구용역을 통해 마련되는 모델을 지역별 특성에 맞게 응용해 적용할 경우, 자전거를 이용한 친환경적인 교통문화 확산, 교통난 해소, 건강 증진 등의 효과와 함께 대도시 지역의 대기오염개선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