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정성 기자
국립공원관리공단, 환경관리공단,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한국환경자원공사 등 환경부 산하기관을 포함한 48개 시범 공공기관에서 종이문서 낭비를 예방하는 전자문서유통 서비스를 개시했다.
행정자치부(장관 오영교)는 행정기관간 전자문서유통을 지원하는 '정부전자문서유통지원센터'의 기능을 확대·개선해 행정기관뿐만 아니라 공공기관에까지 전자문서유통 서비스를 실시한다고 20일 밝혔다.
행자부는 작년 6∼10월까지 전자거래 국제표준 개방형방식인 ebMS(ebXML Message Service)를 이용, 공공기관용 유통시스템, 센터관리시스템(www.gdoc.go.kr) 및 모니터링시스템을 구축했다. 이어 2개월(11∼12월) 동안 시범공공기관과 전자문서유통 테스트 실시를 거쳐, 이달 16일 테스트가 완료된 48개 시범 공공기관에 대해 전자문서유통 서비스를 개시했다.
현재, '정부전자문서유통지원센터'는 56개 중앙행정기관, 250개 지방자치단체, 243개 교육청과 국공립대학, 48개 공공기관, 기타 국회·중앙선거관리위원회 등 총 600여개 기관의 전자문서 유통을 지원하고 있다. 앞으로 전자정부법, 사무관리규정 등 관련제도의 정비가 완료되면 전자문서유통을 희망하는 공공기관에 대해 추가신청을 받을 예정이다.
행자부는 금년에도 '정부전자문서유통체계 고도화 2단계 사업'을 실시, 비표준 전자문서시스템을 사용하거나 전자문서시스템을 도입하지 않은 기관들의 전자문서유통 지원을 위한 '전자사서함'(가칭)을 구축, 모든 공공기관에까지 전자문서유통을 확대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원활한 전자문서유통을 위해 행정기관의 전자문서유통방식도 '메시지 큐 방식(MQ)'에서 '국제표준 개방형 방식(ebMS)'으로 전환해 전자문서유통의 확장성과 신뢰성·보안성도 아울러 개선해 나갈 계획이다.
행자부 관계자는 "이번 전자문서유통 서비스의 공공기관 확대로, 기존에 1∼2일 정도 소요되던 문서유통 시간이 수분내로 단축돼 행정효율은 물론, 문서사용자들의 편의성과 행정비용 또한 절감될 것"으로 기대했다.
한편, 행자부는 작년말 '정부전자문서유통체계 고도화 1단계 사업'을 완료하고, 20일 정부중앙청사 별관 대강당에서 행정기관 및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사업에 대한 최종워크샵을 개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