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 대기질 해마다 개선
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대구시의 대기질이 해마다 좋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구시는 6일 대기질 환경개선을 위해 난방, 취사, 자동차 등에 대한 저유황 및 청정연료의 공급과 저·무공해 자동차 보급 시책 등을 지속적인 추진해온 이같은 결과가 나왔다고 6일 밝혔다.


대구시의 최근 3년간의 대기오염도 분석결과, 대기오염의 지표로 삼고 있는 아황산가스는 '05년 평균이 0.006ppm(환경기준 0.020ppm/년)으로 3년 연속 환경기준치의 30% 정도로 훨씬 밑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같은해 미세먼지는 54㎍/㎥(환경기준 70㎍/㎥/년), 이산화질소는 0.024ppm(환경기준 0.050ppm/년)로 3년 연속 감소됐으며, 2차오염물질인 오존은 0.021ppm(환경기준 0.050ppm/년)으로 최근 3년 동안 환경기준치보다 낮게 유지됐다.


시민들이 가장 민감하게 체감하는 미세먼지 농도는 '03년 61㎍/㎥, '04년 58㎍/㎥, '05년 54㎍/㎥으로 지난 3년간 연속 감소해 대구의 대기질이 해마다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있음이 입증됐다.




대구시 최근 3년간의 대기오염도


대기중 미세먼지는 흔히 기관지염과 천식 등을 일으키고 면역기능을 저하시키며 알레르기 비염 등을 유발한다. 또한 대기오염물질 가운데 인체위해도가 가장 높은 물질로 분류되고 있다. 급성사망자를 기준으로 볼 때 이산화황보다 2.5배, 일산화탄소에 비해 28배 이상 위험한 것으로 조사되어 시민건강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구시는 대기오염의 주원인이 자동차로서 전체 발생량의 77%를 차지함에 따라 이들 자동차 배출가스로 인한 대기오염물질을 줄이기 위해 지난 '01년부터 천연가스 시내버스를 보급, 현재 718대가 운행되고 있다. 여기에 금년부터 시행하는 천연가스 청소차 보급, 경유차량 매연여과 장치부착, 전기이륜차, 하이브리드 차량 보급 등 대기질 개선사업이 지속적으로 추진되면 대구의 대기오염도는 계속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대구시 관계자는 "지난 '99년 환경부로부터 오존, 이산화질소가 대기환경기준을 초과할 우려가 있어 대기환경규제지역으로 지정됐다"면서 "후속 조치사항으로 대기환경개선 실천계획을 수립, 추진해 대기질이 매년 개선됐으며 오는 '10년까지 대기환경기준의 80%이하 수준으로 대기질이 개선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환경정책을 펼쳐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06-01-06 08:29:19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오대산 ‘복수초’ 개화…봄 ‘성큼’
  • ‘동해 품은 독도’ 촬영하는 박용득 사진작가
  • <포토>‘어도를 걸을 때’
최신뉴스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