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봉기 기자
목적지를 찾아가는데 10명중 4명은 사람들에게 길을 물어보며 찾아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정홍보처와 행정자치부에서 이달 초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유니온조사연구소에 의뢰해 전국 성인남녀 1천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이번 조사에서 목적지에 도착하기 위해 전화나 주위사람에게 평균 1.9회 정도 물어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으며, 현재 사용하고 있는 ○○동 ○○번지 식의 주소로는 목적지를 찾기가 어렵다는 응답이 61.2%로 높게 나타났다.
목적지를 찾기가 어려운 이유로는 '번지수만으로 위치를 몰라서'가 가장 높으며 그 다음으로는 '지번이 불규칙해서' 등으로 조사됐다.
이같은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행정자치부에서 추진하는 국제표준의 도로명방식의 주소제도와 관련, '도로명판을 본적 있다'는 응답이 74%였고 '도로명을 알고 있다'는 응답이 40%였다. 도로명방식으로 주소제도를 바꾸는 것에 대해서는 응답자중 63%가 만족한다고 답했다.
도로명 및 건물번호부여 사업은 지난 '96년 국가 경쟁력강화 기획단에서 기획돼 행자부가 추진하는데 현재 전국 234개 자치단체중 100개 시·군·구가 완료되고 69개 시·군이 추진 중인 것으로 파악됐다. 아직까지 착수하지 않은 65개 시·군에서는 빠른 시일 내에 도로마다 도로명을 건물마다 건물번호 부여를 마무리해 이같은 불편을 해소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행자부 관계자는 "현재 국회에서 심의중인 '도로명주소등표기에관한법률'이 제정되고 오는 '09년까지 전국적으로 도로명과 건물번호가 부여되면 유비쿼터스 시대에 맞는 전자지도 통합센터의 구축으로 위치정보자료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다"며 "세계적으로 공통인 도로명방식의 주소체계를 우리나라도 갖게 돼 국민들의 불편이 해소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우리나라의 現주소표시제도는 일제가 토지수탈의 목적으로 전 국토를 대상으로 실시한 토지조사사업의 결과로써 토지마다 지번을 부여하는 방식에 의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