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상품 적극 밀어준다
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앞으로 친환경상품의 수요는 물론 판매도 크게 늘어날 전망이다.



구체적으로 우리나라 친환경상품시장 규모가 오는 '10년까지 지금보다 약 5배로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친환경상품 인증 대상도 현행 107개보다 2배 가까이 증가한 200개로 늘어날 전망이다.


환경부는 21일 '친환경상품구매촉진위원회'를 열고 이같은 발전계획을 담은 '제1차친환경상품구매촉진기본계획'을 확정 발표할 예정이다.


오늘 발표되는 계획은 친환경상품 분야의 국가종합계획이라고 할 수 있다. 향후 친환경상품 생산·유통·보급 활성화를 위한 정책 비젼 및 방향과 구체적인 추진계획을 상세히 담았기 때문이다.


우선 공공기관의 친환경상품 구매율을 '10년까지 약 1조 4천억원 규모에 80%로 확대하는 한편 시장규모도 '10년까지 16조원에 이르는 규모로 대폭 성장시킨다는 계획이다.


또한. 환경마크제도의 경우 현행 33%의 소비자 인지도를 '10년까지 70%로 끌어올리고 친환경상품 사용빈도도 21.3%('05)에서 약 55%('10)로 확산시킨다는 것.


이를 위해 환경부는 각급 공공기관에 친환경상품 구매실적을 평가항목으로 반영, 인센티브를 부여하는등 의무구매 기반을 강화할 예정이다. 아울러 인증품목을 확대해 사후관리를 철저히 하도록 하는 등 상품의 생산과 유통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하겠다는 방침이다.


이와 함께 녹색구매를 위한 자발적 협약 참여업체를 현행 30개에서 '10년까지 200개 기업으로 확대, 민간분야의 녹색소비문화를 확산시켜나간다는 계획이다.


환경부 관계자는 "지난 7월 세계 최초로 공공기관 친환경상품 의무구매제도를 규정한 '친환경상품구매촉진에관한법률' 시행에 이어 분야별 세부추진사항이 포함됐다"며 "계획이 본격 추진될 경우 공공분야 뿐 아니라 산업계 및 일반 소비자들에게까지 친환경상품의 보급이 활성화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05-12-21 08:37:34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오대산 ‘복수초’ 개화…봄 ‘성큼’
  • ‘동해 품은 독도’ 촬영하는 박용득 사진작가
  • <포토>‘어도를 걸을 때’
최신뉴스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