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진용 기자
올해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 간 공무원 인사교류 규모가 100명을 넘어섰다.
중앙인사위원회는 올해 상반기와 하반기 두 차례에 걸쳐 중앙부처 및 지방 공무원 102명을 교류임용 대상자로 확정, 파견키로 했다고 16일 밝혔다.
중앙·지방간 인사교류 제도는 중앙행정기관과 지방자치단체간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행정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지난해 처음 도입됐다.
올해 교류인원은 시행 첫 해인 작년 84명에 비해 20% 이상 증가한 것으로 중앙·지방 인사교류제도가 안정적으로 뿌리내리고 있음을 보여줬다.
올해는 교육인적자원부, 여성가족부, 통일부, 소방방재청(중앙)과 대구시, 울산시(지방) 등이 새로 인사교류에 참여함에 따라 교류기관이 중앙부처의 경우 지난해 17개에서 21개로, 시·도는 14개에서 16개로 늘었다. 지난해 인사교류를 실시한 기관들도 올해 교류근무 기간을 연장하거나 대상자를 교체 파견하는 등 제도에 대한 만족도와 호응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례로 기획예산처에서 경기도로 파견된 사무관은 국가예산과 지방예산을 연계한 운영시스템을 개발해 재정 집행에 있어 효율성을 높인 점을 인정받아 연장근무하고 있다. 또, 건설교통부로 파견 나온 제주도 사무관은 지역특화발전특구와 특정지역 업무에 기여한 공로로 근무 기간을 연장했다.
올해 교류 임용자들은 평균연령이 43.5세로 행정직이 69.6%, 기술직은 30.4%로 집계됐다. 직급별로는 5급이 76명으로 가장 많았고 올해부터 교류대상에 처음 포함된 6급이 24명, 4급이 2명이었다.
특히, 교류대상 지방공무원 중 12명은 지방·행정·사법 등 고시 출신자로 지자체들이 젊고 우수한 인재를 파견, 중앙의 정책역량을 습득하는 기회로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중앙인사위 인재기획과 김연숙 사무관은 "올해부터 교류대상 지자체의 범위를 기존 광역자치단체에서 인구 50만 이상의 기초자치단체까지 늘리고 대상 직급을 3∼5급에서 3급까지 확대했다"며 "다른 직급·직렬 간에도 상호교류가 가능하도록 길을 열어놓는 등 제도의 탄력성을 높이기 위해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고 말했다.
김 사무관은 이어 "중앙·지방간 인사교류 제도는 중앙의 정책수립능력과 지방의 현장경험을 결합시킴으로써 행정의 시너지효과를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다"며 "교류 임용자에 대한 인센티브를 강화하는 등 보완대책을 강구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중앙인사위는 16일 인사교류의 경험과 노하우를 공유하고 제도 발전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행정자치부와 공동으로 '중앙·지방간 인사교류자 간담회'를 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