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방이동에 생태학습장 조성
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서울 송파구 방이동 생태계보전지역이 생태학습장으로 거듭난다.


서울시 푸른도시국은 지난 '02년 4월에 지정한 송파구 방이동 생태계보전지역 17,820평(58,909㎡)에 대한 3년간의 변화관찰용역을 마치고 새롭게 관리·복원계획을 수립, 생태학습장으로 활용할 방침이라고 6일 밝혔다.


방이동 생태계보전지역은 지난 '60년대말 광진구 능동 어린이대공원을 건설하면서 올림픽경기장 부지(도시계획상 운동장)로 대체 지정된 토지의 일부다. '80년대 올림픽경기장이 다수 지어진 올림픽공원과 선수촌아파트 건설시 제외된 유보지(465,631.7㎡)의 한가운데에 위치한 서울에서 보기 힘든 도심습지다.


이 곳은 예전에는 한강이 범람해 만들어진 부리도라는 모래섬의 한쪽 끝부분으로 추정되고 있다. 현재는 성내천과 감이천이 합류하는 삼각형 범람원 중앙으로 '70년대 벽돌제조를 위한 토사채취 결과 웅덩이가 만들어진 뒤 이곳으로 지하수가 유입, 습지로 형성돼 장기간 경과된 공간이다.


올림픽경기장 건설부지에서 제외되고 그린벨트에다 도시계획으로 묶여있던 이 곳은 개발에서 소외돼 습지 주위로 현사시나무와 버드나무가 둘러싸여진 천혜의 생태공간이 만들어졌다.


이에 따라 원앙, 개구리매, 알락개구리매, 황조롱이 4종의 천연기념물과 서울시 보호종 조류 중 5종(물총새, 오색딱다구리, 제비, 박새, 꾀꼬리)가 출현하는 서울시내 최고의 가치를 지닌 것으로 추정되는 생태보고가 됐다.


3년에 걸친 생태계 변화관찰용역 결과, 담수와 육상생태계가 공존하는 특성에 따라 상대적으로 좁은 공간내에 식물 96종, 조류 66종, 양서류 5종, 어류 5종, 곤충류 120종 등이 서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서울에선 거의 발견된 적이 없는 토종 논우렁이가 대량 서식하는 것으로 밝혀져 증식프로그램 운영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 관계자는 "하남시 하수유입, 연못에 일부 매립됐던 쓰레기 제거, 물순환 및 유량확보체계 개선, 일부 목재휀스 설치 등 훼손을 방지하고 생태적 복원이 가능하도록 한 실행계획을 수립, 내년부터 적극 추진해 나가기로 했다"면서 "서울시내에서 생태적으로 중요성이 매우 큰 생태계의 보고이자 생태학습장으로 관리·활용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보상완료한 기존 농가주택을 생태학습관으로 내년 6월까지 수리해 활용하고, 수변관찰데크, 조류관찰대도 설치해, 자원봉사자를 활용한 모니터링과 및 사전신청을 통한 제한적인 생태체험프로그램을 운영할 방침이다. 아울러 이전에 양어장으로 활용되던 옥외공간을 활용, 토종 논우렁이를 증식해 서울시내 연못 등에 방사할 방침이다.


한편, 서울시는 한강 밤섬을 비롯해 둔촌동 습지, 탄천, 방이동 습지, 암사동 습지, 진관내동 습지, 고덕동 습지, 청계산 원터골 낙엽활엽수군집, 헌인릉 오리나무군집 9개소를 서울시 생태계보전지역으로 지정·관리해 왔다.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05-12-06 12:43:08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오대산 ‘복수초’ 개화…봄 ‘성큼’
  • ‘동해 품은 독도’ 촬영하는 박용득 사진작가
  • <포토>‘어도를 걸을 때’
최신뉴스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