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격차해소에 1조9천억원 투입
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정부는 취약계층의 정보격차해소를 위해 내년부터 오는 '10년까지 추진할 '제2차 정보격차해소 종합계획(2006∼2010)'의 밑그림을 마련, 향후 5년간 약 1조8,858억원을 투입하기로 결정했다.


이를 통해 현재 53.3%수준인 전체국민 대비 취약계층의 정보화 수준이 '10년까지 80%수준으로 제고될 전망이다.


정보통신부는 5일 오전 광화문 청사에서 진대제 정보통신부 장관 주재로 '제5차 정보격차해소위원회'를 열고 교육인적자원부 등 14개 부처가 공동으로 마련한 '제2차 정보격차해소 종합계획'을 최종 확정했다.


유비쿼터스 사회진입, 고령사회의 도래, 생활 속의 정보기술 활용 확대, 경제 양극화 심화 등 새로운 환경 변화에 대응한 정책추진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모두가 함께하는 따뜻한 디지털 세상' 구현을 목표로 2차 정보격차해소 종합계획을 수립했다.


그 동안 추진된 '제1차 정보격차해소 종합계획(2001∼2005)'이 취약계층의 정보접근 및 정보이용환경의 기반 마련에 주안점을 두고 추진됐다면 이번 2차 종합계획은 "어떻게 하면 IT를 활용하여 실생활에 도움이 될 수 있을까"를 고려하는 수혜자 입장에서 마련된 계획이다.


종합계획의 주요내용을 보면, 먼저 장애인, 노인 등의 정보 접근성 보장을 위한 법제도 정비, 상시적 정보격차해소 추진체계 운영, 정보격차해소연구센터 설립 등을 통해 환경변화에 즉각적인 대응이 가능한 시스템을 마련하여 정보격차 발생을 사전에 대응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키로 했다.


국민 모두가 지역적·신체적·경제적 차별 없는 평등한 정보접근 기회를 실현하기 위해 정부는 '10년까지 정보통신 제품 및 서비스별 접근성 가이드라인 제작·보급, 청각·언어장애인을 위한 통신중계서비스(TRS) 운영, 정보통신 보조기기 4만개 보급, 취약계층 가구 PC 보유율 80%(현재 63.3%) 향상 등으로 취약계층의 정보 접근권 보장을 강화할 방침이다.


또한, 500만 취약계층에 대한 정보화교육을 실시하고, 정보화를 통한 소득창출 기회를 제공할 예정이다. 아울러 장애인을 위해 장애극복을 위한 기술과 콘텐츠 개발을 지원하고, 고령층에게는 노년생활 지원을 위한 각종 디지털 환경 조성 등을 통해 취약계층이 정보화를 통해 삶의 질이 개선되는 등 실질적인 혜택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이밖에 IT 선진국에 걸맞는 개도국 정보화 촉진 지원과, 정보격차해소를 위한 국제협력을 강화해 한국형 정보화모델 전수와 국제 IT정책 영향력 강화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정통부 관계자는 "지난 '01년부터 금년까지 추진된 제1차 정보격차해소를 위한 정책을 수행한 결과, 취약계층의 인터넷이용률이 '01년 11.5%에서 금년 6월말 현재, 28.9%로 약 2.5배 증가했다"면서 "취약계층 가구의 컴퓨터 보급률은 '02년 40.6%에 비해 금년 6월에는 63.3%로 증가했다"고 밝혔다.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05-12-05 19:46:35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오대산 ‘복수초’ 개화…봄 ‘성큼’
  • ‘동해 품은 독도’ 촬영하는 박용득 사진작가
  • <포토>‘어도를 걸을 때’
최신뉴스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