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 중소도시 종합개발 길 트여
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앞으로 한 도시 안에 여러 해에 걸쳐 이뤄지는 다양한 개발사업을 하나로 묶어 종합적으로 개발함으로써 지방중소도시가 효과적으로 발전될 수 있는 길이 열리게 된다.


건설교통부는 정기국회에서 개정된 '지역균형개발및지방중소기업육성에관한법률'(이하 지역균형개발법)에서 새로 도입된 지역종합개발지구 사업시행방안을 비롯한 지역개발 제도를 보완하기 위해 시행령 개정안을 마련, 5일 입법예고한다.


지역균형개발법 시행령은 입법예고, 법제처 심사 등 관련 절차를 거쳐 내년 3월 중순부터 시행될 예정이다.


지역균형개발법 시행령의 주요 개정내용을 살펴보면 지역종합개발지구는 시·도지사가 요청하거나 민간개발자가 해당 지자체를 거쳐 지구지정을 제안하면 건교부장관이 관계부처 협의 등을 거쳐 지정하게 된다.


지역개발협약과 관련, 사업시행자는 종합개발계획을 작성해 시장·군수와 개발협약을 체결하도록 하되, 개발협약에는 사업시행방식, 사업별 재원조성방안, 기반시설 설치 등을 포함하고 개발이익은 지역내 기반시설에 재투자하도록 했다.


공공기관 지방이전 지원과 관련해서는 이전대상 공공기관이 원활히 지방으로 이전할 수 있도록 한국토지공사가 종전부동산을 매입할 수 있도록 했다.


건교부는 이번에 새로 도입되는 지역종합개발지구의 구체적 운영지침이 마련되는 대로 3∼5개 희망도시를 대상으로 토지공사가 시범사업을 실시한 다음, 오는 '07년부터 본격적으로 사업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이와 함께 낙후지역을 개발촉진지구로 지정하고자 할 때, 해당 도의 총면적의 10%범위 내에서 지정하도록 제한해 왔으나 20%로 상향조정해 보다 많은 낙후지역이 개발촉진지구로 지정돼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했다. 또, 각종 지역개발계획을 서로 연계시켜 종합적인 개발이 이뤄지도록 개발촉진지구 지정 요청시 다른 법률에 의한 지역개발계획과의 연계성 확보방안도 함께 제출하도록 했다.


이밖에 건교부장관은 특정지역, 개발촉진지구, 지역종합개발지구 등 지역개발계획의 집행결과를 매년 종합평가해 집행실적이 부진한 경우, 지구지정 해제, 예산삭감, 개발계획변경 등 개선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했다.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05-12-04 12:35:39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오대산 ‘복수초’ 개화…봄 ‘성큼’
  • ‘동해 품은 독도’ 촬영하는 박용득 사진작가
  • <포토>‘어도를 걸을 때’
최신뉴스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