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단에너지 보급 확대, 온실가스 저감
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우리나라 가정과 상업부문의 에너지 사용으로 인한 온실가스 배출량을 저감하기 위해서는 집단에너지의 확대보급이 최적의 방안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기후변화협약의 발효에 따라 세계 9위의 온실가스 배출국인 우리나라는 제2차 의무부담기간('13∼17년)에 감축의무국가로 편입될 가능성이 많은 상황이다.


22일 열린 국제 세미나에서 국제에너지기구(IEA) 집단에너지분야 집행위원회 의장인 Robin Wiltshire(英)와 영국 열병합발전협회(CHPA) 부회장인 Michael King은 "영국에서는 현재 약 24만7,000가구에 집단에너지를 공급하고 있다"며 "이러한 가정부문에 대한 집단에너지 공급으로 매년 3.5∼4.5MtC(억 탄소톤)의 탄소가 감축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스웨덴 지역난방협회 이사인 Erik Larsson은 "금년 1월부터 부분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배출거래시스템이 '10년경에는 전세계적으로 확대될 것"이라고 예상하면서 "이러한 배출거래시스템에서는 에너지사용량 절감과 대기환경 개선효과가 큰 집단에너지사업이 절대적으로 유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한국지역난방공사 김영남 사장은 "현재 우리나라 온실가스 배출량의 약 15%를 차지하고 있는 가정·상업부문에 대한 집단에너지 보급률이 10%(134만호)에 불과하다"며 "오스트리아(16%), 스웨덴(45%), 덴마크(48%), 핀란드(50%)에 비해 턱없이 낮은 실정"이라고 말했다.


김 사장은 "구역형 집단에너지사업(CES), 신재생에너지 활용사업 등을 통해 가정·상업부문에 대한 집단에너지 보급률을 30%로 끌어올릴 계획"이라며 "이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국가적인 관심과 정책적인 지원이 절실히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오늘 세미나는 매일경제신문 온기운 논설위원과 연세대 경제학과 신의순 교수의 사회로 환경부 안연순 대기정책과장, Masaru Nagaya(일본 열공급사업협회 정책계획위원회장), Robert.P.Thornton(미국, IDEA 회장), 이상훈 환경운동연합 정책기획실장 등이 패널로 참석했다. 또, 국내외 150여명의 에너지 관련 인사들이 세미나에서 토론을 벌였다.


이번 국제세미나는 한국지역난방공사(사장 김영남)가 주최하고 매일경제신문사와 에너지경제연구원 후원으로 서울 삼성동 그랜드 인터콘티넨탈 호텔에서 열렸다.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05-11-22 23:57:50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오대산 ‘복수초’ 개화…봄 ‘성큼’
  • ‘동해 품은 독도’ 촬영하는 박용득 사진작가
  • <포토>‘어도를 걸을 때’
최신뉴스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