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첫 돌속의 서예 전시 개최
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국내 유일의 비림(碑林) 박물관인 한국비림원이 11일부터 30일까지 용산 가족공원에서 문화와 역사를 돌 속에서 찾는 특별한 전시회를 연다.


용산가족공원 뜰에서 갖는 이번 전시회에는 우리나라를 빛낸 역사적인 인물들의 초상화와 역대 임금의 어필 160여점을 비롯 명필들의 탁본과 성씨 유래, 그리고 동요, 동시 등 총 250여 편이 석문(石文)에 각인돼 전시된다.




용산가족공원에 국내최초 돌속의 서예 전시회.


이러한 작품들을 한자리에 모아 전시한 것이 처음인 만큼 일반인들이 보고 만지고 체험하는 기회를 통해 역사의식을 느껴보는 계기를 제공하고 금석문(金石文)을 이해하는 역사체험의 장이 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이번 전시회는 일반 관람객을 대상으로 가족공원내에 전시하고, 선인들의 기록 방식을 서예에 국한하지 않고 역대 인물화와 성씨 유래비, 동요·동시 등을 동시에 전시, 교육에도 효과적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했다.


비림전시회에는 주옥같은 동요와 동시 40여 편도 선뵌다. 현대미술협회 부이사장으로 있는 규당 조종숙씨를 비롯 늘샘 권오실, 정안당 신정희, 의당 이현종 등 우리나라의 한글서체의 당대 최고로 꼽히는 43명의 서예가들이 동시를 쓴 작품으로 현재 우리나라의 한글서법을 연구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돌에 생명력을 불어넣어 역사의식을 살려내고 있는 금번 전시회에는 정동채 문광부 장관을 비롯 이용희 국회의원, 이명박 서울특별시장 등 각계에서 많은 인사들이 축하를 해주고 있다.


아직은 일반인에게 생소한 비림원이란 문자나 그림을 금속성 재료에 기록한 금문(金文)과 비석과 같이 석재에 기록한 석문(石文)을 전시한 것이다. 국내에는 '02년 5월 충북 보은에 비림박물관을 개관한 바 있다. 충북 보은군 수한면에 있는 한국비림원(60·이사장 허유)은 우리나라의 우수한 금석문을 영구히 보존하기 위해 비(碑)에 각인, 전시하는 일을 해 왔는데 3년을 맞는 지금 약 600여점의 작품이 입비(立碑)돼 있다.


현재 비림원은 한국 성씨 유래비 3,500여점과 역대 어필(御筆) 200여점, 고대인물 초상화 300여점 등을 제작하고 있다.


(사)한국비림원 관계자는 "이번 전시회를 계기로 공원에 역사와 문화가 함께 숨쉬고 이야기가 흐르는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할 것"이라며 "비가오나 눈이오나 언제나 그 자리서 꿋꿋히 자리를 지키며 역사를 증명하고 이야기를 전하는 돌속의 아름다움을 보여주고자 한다"고 말했다.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05-11-10 23:07:35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오대산 ‘복수초’ 개화…봄 ‘성큼’
  • ‘동해 품은 독도’ 촬영하는 박용득 사진작가
  • <포토>‘어도를 걸을 때’
최신뉴스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