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진에 ‘금강소나무 보호림‘ 조성
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경북 울진군 서면 소광리 일대 150만평의 금강 소나무 숲이 전통 목조건축물을 수리하고 복원하는데 쓰일 소나무 육성지로 특별관리하기 위해 '금강소나무 보호림'으로 조성된다.


산림청(청장 조연환)과 문화재청(청장 유홍준)은 11일 오후2시, 울진군 소광리에서 '금강송 보호림 업무협약식'을 갖고 이에 관한 일체의 자료를 타임캡슐에 담아 보존하는 행사를 마련한다.


이해찬 총리가 참석한 가운데 열리는 이날 행사에서는 소광리 일대 150만평의 금강소나무 숲에 대해 향후 150년간 불가피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함부로 벌채할 수 없도록 정할 방침이다. 또, 이를 기념해 이 총리와 산림청 및 문화재청 관계자, 소광리 주민, 임업관련 단체 등 150여명의 행사 참석자들은 협약식 후 1,111그루의 금강 소나무를 숲 일대에 심는 행사를 갖는다.



금강소나무는 우리나라 대표적 소나무 품종으로 강원, 경북의 백두대간 지역에 주로 분포하고 있다. 소광리 금강소나무 숲에는 짧게는 10년부터 길게는 500여년이 된 금강소나무가 1,600여ha에 걸쳐 대규모 숲을 이루는데 나무 지름이 60㎝이상 되는 금강소나무만도 1,600여 그루가 자라고 있다.


조연환 산림청장은 "금강소나무는 재질이 우수하고 수형이 아름다워 목재로서의 가치가 뛰어나 예로부터 궁궐과 사찰 등의 건축재나 가구재 등으로 많이 활용되어 왔다"면서 "과거 다른 지역에도 울창했던 금강소나무는 무분별한 벌채와 일제시대 산림 수탈로 황폐됐으며 최근에는 소나무재선충병이나 산불 등과 같은 재해로 존립 위협에 놓인 실정"이라고 말했다.


유홍준 문화재 청장은 "금강소나무 숲은 조선 후기 숙종 때 황장봉산(黃腸封山)으로 지정·관리돼 왔으며 황장목(黃腸木)을 보호하고 가꾸기 위해 일반인의 이용을 금지해 왔다"고 전제한 뒤 "금강소나무는 경제적 가치는 물론이고 문화적으로도 우리 선조들이 오랫동안 귀하게 여기고 민족의 정신이 깃든 '나무이상의 나무'"라고 강조했다.


황장봉산이란 무주공산(無主空山)이던 예전에 나라에서 필요로 하는 여러 목재를 수급하기 위해 보호하는 숲이 있는 산을 이른다. 이 가운데 특히 왕실의 관을 만들 때 재궁용으로 쓰는 목재를 황장목이라 하고 이 황장목을 위해 일반인의 접근을 엄격히 통제했는데 이 울진 서면의 소나무 숲이 바로 그 숲이다. 과거 소광리 한 바윗돌에서 이곳이 예전에 황장봉산(黃腸封山) 이었음을 알려 주는 황장봉계표석(黃腸峰界標石)이 발견됐다.


소광리 금강소나무 숲은 참나무 등 낙엽 활엽수와의 종간 경쟁이 심화되고 소나무재선충병 등으로 후계숲 형성이 저조해 학계를 중심으로 금강소나무숲 보전 필요성이 제기돼왔다.


산림청은 그동안 솎아베기, 후계림 조성 및 보존사업을 통해 각별한 애정을 갖고 가꾸어왔으며 올해도 23억원의 사업비를 들여 후계숲을 조성해왔다.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05-11-10 11:36:17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오대산 ‘복수초’ 개화…봄 ‘성큼’
  • ‘동해 품은 독도’ 촬영하는 박용득 사진작가
  • <포토>‘어도를 걸을 때’
최신뉴스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