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희자 기자
【에코저널=인천】한국환경공단(이사장 박승환)은 공공환경시설의 운영관리 상태를 점검, 효율적 운영을 컨설팅하는 기술진단 과정에서 온실가스도 함께 측정하는 시범사업을 실시한다고 17일 밝혔다.
공단에 따르면 이번 시범사업에서는 저탄소 녹색성장기본법에 의한 온실가스 6종 중 주요배출 온실가스 항목인 CH4, N2O를 대상으로 배출량을 측정하게 된다. 에너지 절감 등 적정운영 개선방안도 함께 제시한다.
온실가스 배출현황에 대한 직접 조사를 통해 현재 국외자료(IPCC Guide Line)에 의존하는 공공환경시설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관련 현장 측정자료를 확보하게 된다.
이에 따라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및 온실가스 저감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게 됐다. 금년에는 공공환경시설 4개소(공공하수 2개소, 분뇨 및 가축분뇨 각 1개소)에 대한 온실가스분야 기술진단 시범사업을 실시하게 된다. 공단은 시범사업 결과를 토대로 공공환경시설별 온실가스 발생량과 저감대책 등을 분석한 후 온실가스분야 기술진단을 관련 업무 규정에 반영할 예정이다.
한편 공단에서는 1996년부터 공공환경시설(하수, 분뇨, 폐수 등)에 대해 가동개시 공고일로부터 5년마다 기술진단(유입오염물질 특성조사, 시설 및 운영에 대한 현상진단, 개선방안 제시 등)을 통해 처리시설의 고장예방과 적정운영이 이뤄질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