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진용 기자
소나무재선충병 감염의심목에 대한 신속한 감염여부 확인을 위해 국립산림과학원과 시ㆍ도 산림환경연구소에 전문인력을 100여명으로 보강, '소나무재선충병 방제 확인반'이 운영된다. 또, 연말까지 DNA 분석기법을 활용한 검사장비를 대량으로 보급하는 방안 등이 마련될 예정이다.
2일 오후 3시 조연환 산림청장 주재로 양재동 aT센터 열린 '소나무재선충병 방제 유관기관 긴급 대책회의를'에서 이같이 결정했다.
오늘 긴급 대책회의에는 한국조경수협회장, 한국양묘협회장, 한국목재칩연합회장, 한국합판보드협회장, 산림조합중앙회장 등 소나무류를 직접적으로 취급하는 관련업체 및 유관기관 대표 20여명이 참석했다.
이번 긴급 대책회의에서는 소나무재선충병 비상대책의 직접적인 영향권 안에 들어 있는 관련업체 대표들이 참석함에 따라 그동안 방제 추진상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제기됐던 감염목 무단이동에 의한 인위적 확산을 차단하기 위한 방안 등이 집중적으로 논의됐다.
조연환 산림청장은 회의에서 이달 1일부터 한시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소나무류 이동제한 특별지침' 이행을 강도 높게 주문했다.
이에 따라 ①벌채 및 굴취허가로 생산된 소나무류는 소나무재선충병에 감염되지 않았음을 검인으로 확인받은 후 이동 ②산지전용 허가지 등에서 나온 소나무류를 조경용 등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도 일정한 확인절차를 거쳐 생산확인표를 부착 ③제재, 원주목 등을 이동시키고자 할 경우, 생산ㆍ유통 자료 사본을 소지 ④포지 등에서 재배한 조경수 및 분재 등은 미감염 확인 후 생산확인표 부착후 이동하는 방안이 철저히 점검된다.
산림청 관계자는 "소나무재선충병 확산저지를 위해서는 산림공무원 뿐만 아니라 현업에서 직접적으로 소나무류를 벌채ㆍ굴취ㆍ유통하는 관련업체의 협조가 절실히 필요해 이번 유관기관 긴급대책회의를 마련했다"고 밝히면서 "이번에 마련된 비상대책이 관련업체에게 다소 영향을 줄 수 있지만 소나무가 이땅에서 사라지면 임업자체의 존립이 어렵다는 위기의식을 공유하고 적극적으로 협조해줄 것을 당부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산림청은 지난달 24일, 농림부장관 주재로 비상대책회의를 열고 소나무재선충병 비상대책을 마련한데 이어 기존의 산림보호지원팀을 소나무재선충병방제팀으로 확대·재구성(4명→13명)했다.
이와 함께 산림청 차장을 본부장으로 하는 '소나무재선충병 이동 단속본부'를 설치하고, 본청 과장급 및 지방청 관계자로 5개의 합동단속반을 구성, 지역별 책임 단속체제를 본격 가동한다.
한편, 산림청은 전 산림공무원, 산림조합 임직원, 임업인 등 가용한 모든 인력과 조직을 소나무재선충병 확산저지에 집중시켜 재선충병과의 전면전에 나서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