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정성 기자
환경부가 조류독감 예방 대책의 일환으로 지난 10월부터 내년 3월까지 월동철새 및 대규모 철새도래지 정밀 모니터링을 한층 강화해 실시중이다.
환경부는 열린우리당 장복심(비례대표) 의원에게 제출한 '조류독감 예방대책' 자료에서 철원평야, 한강하구, 서산간척지, 금강, 고천암호 등 대규모 철새도래지의 야생조류 폐사체 여부, 가금류 사육농장과 서식지와의 근접성 조사 등 정밀 모니터링을 이같이 실시한다고 밝혔다.
또한, 야생동물 실태조사구중 123개소(해안·소택 및 농경지)와, 물새류 도래지역인 순천만, 낙동강 하구, 주남저수지 등 3개소의 야생동물 폐사체 여부, 이상 징후 개체여부 등 월동철새 상시모니터링을 벌인다.
환경부는 전남, 경북, 강원, 충북 등 시·도 야생동물 구조·치료센터에 조류독감 등 야생동물 질병 조사·연구 기능을 부여하는 한편 국립환경과학원내 야생동물 질병 조사·연구 전담부서를 신설, 전문가 양성을 추진하는 등 야생동물 질병 조사·연구체계를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환경부 관계자는 "조류독감 등 야생동물 질병 및 원인 등에 대한 조사·연구를 강화하고, 질병발생 야생동물, 질병종류, 원인 및 감염경로, DNA분석결과 등을 DB화하는 등 야생동물 질병 조사·연구 및 DB 구축을 추진중"이라며 "조류독감 발생시 주관기관인 농림부(가축질병방역대책본부) 및 지자체 등 관계기관과 신속한 협조체계 구축으로 피해 확산을 사전방지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또, "조류독감 발생지역의 철새이동경로 정보제공 및 철새포획 등 관계기관과 적극적으로 협조하는 한편 오는 7일부터 11일까지 5일 동안 민통선지역 야생조류(텃새) 일제조사를 실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민통선지역 야생조류 일제조사는 강원 철원·고성, 경기 파주에서 실시하는데, 국립환경과학원과 국립수의과학검역원, 경기도 및 강원도 등 4개 기관이 함께 참여할 예정이다. 야생조류(텃새) 폐사체 수거 및 분변을 채취해 조류독감 등 바이러스 검사를 실시하게 된다.
이에 앞서 장복심 의원은 지난달 10일 환경부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10월말부터 조류독감이 발생한 러시아와 카자흐스탄, 몽골, 중국 등의 겨울철새가 본격적으로 한반도로 넘어오는 만큼, 조류독감에 감염된 철새들의 한반도 유입정보를 신속하게 제공받을 수 있도록 국제협력을 강화해야 한다"며 "철새 분변 검사 등 상시 모니터링체계 구축, 철새도래지의 조류 탐방객들에 대한 조류독감 예방교육 실시 등 대책을 마련할 것"을 촉구한 바 있다.
이에 대해 이재용 환경부장관은 "100만 마리 이상의 겨울철새가 한반도에서 월동하는데, 오리류와 기러기류 등 북방철새에 의해 조류독감이 유입될 가능성이 있다"면서 "환경부차원의 조류독감 예방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