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희자 기자
【에코저널=서울】서울시는 기후변화시대 시민들의 삶의 방식을 친환경적으로 이끌어내기 위해 서울소재 비영리민간단체 및 비영리법인을 대상으로 하는 '녹색서울시민실천사업' 수행단체를 공모한다.
'녹색서울시민실천사업'은 기후변화 및 자원재활용분야 7개 사업의 지정사업이 있으며, 시민단체 등에서 제안하는 창의적인 아이디어 사업인 일반사업 등으로 구분, 추진된다.
서울시에 따르면 지정사업으로 선택한 기후변화 및 자원재활용분야의 7개 사업은 기후변화 시대 온실가스를 줄이기 위해서는 다양한 정책추진과 더불어 시민들의 일상생활 속 실천이 무엇보다 필요한 내용을 중점 선정했다.
가정 및 학교 생활 속 온실가스를 줄이기 위한 교육추진 및 기후행동 캠프 운영, 빈터공간에 녹지조성사업이 있다. 올바른 에너지 사용 및 절감방법, 자원절약에 기여하고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는 친환경상품 구매확산, 시민들에게 올바른 먹을 거리 선택에 대한 기회를 제공하고자 했다.
또한, 폐기물을 자원으로 인식하고 재활용하는 리폼사업과 아파트 등 시민거주지역을 중심으로 한 녹색장터를 통한 물품의 재이용사업 등을 선정해 시민단체가 시민들과 함께 추진한다.
금년에는 2009년에 추진한 다양한 교육사업과 더불어 일상생활 속에서 시민들이 즐겁게 실천할 수 있는 과제를 발굴, 추진한다. 사업기간은 4월부터 12월까지다. 신청기간은 이달 19일부터 31일까지, 근무시간으로 제한하며, 신청방식은 이메일(khj9696@seoul.go.kr) 또는 방문접수다.
제출서류는 ①지원신청서, ②지원사업계획서 및 ③비영리민간단체등록증(또는 비영리법인증) 등으로 양식은 서울시 홈페이지(http://seoul.go.kr 접속→시정소식→공고) 또는 맑은환경본부 홈페이지(http://env.seoul,gokr→새소식란)에서 다운받아 사용하면 된다.
단체에서 2개 사업까지 지원이 가능하나, 심사에서는 1개 단체 1개 사업 선정을 원칙으로 한다.
사업지원 규모는 사업별 최대 4000만원 이내로 지정사업의 경우는 사업비 전액을 지원하고 있다. 일반사업은 사업비의 70%를 지원하고 30%는 단체 등에서 부담해야 한다.
신청사업은 시민단체, 기업,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별도의 심사위원회에서 사업목적 및 내용의 적합성, 단체의 전문성·책임성, 예산계획의 적합성 등을 심사항목으로 선정하게 된다. 심사결과는 4월 중순 서울시 및 맑은환경본부 홈페이지에 게첨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