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정성 기자
식품표시를 시민들이 이해하기 어렵다는 것이 중론이다. 특히, 유전자조작 식품, 방사선조사 식품은 표시를 찾아 볼 수 없고 제품명에 사용된 특정성분 함량 최저치는 0.1%에 불과한 실정이다.
이같은 현실을 감안, 서울환경연합은 26일 오후 1시30분부터 은행연합회관 2층 국제회의실에서 '식품 안전을 위한 첫걸음, 알기 쉬운 식품 표시' 토론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에 앞서 서울환경연합은 2,000여 품목의 가공식품 모니터링 및 전문기관을 통한 시민인식조사를 통해 현행 식품 표시기준에 대한 진단을 실시한 바 있다. 그 결과, 아이들이 즐겨먹는 과자류 및 아이스크림류의 주원료에 대한 원산지 표기 비율은 각각 36.5%, 20.0%으로 극히 저조한 수준에 머무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딸기 과자, 쇠고기 조미료 등 특정성분을 제품명의 일부로 사용하고 있는 경우, 소비자들의 기대와는 달리 제품 중 특정정분 함량이 최저 0.1%만 함유하고 있는 경우도 있어 오해의 소지가 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또, GMO 식품 및 방사선 조사된 원료를 사용한 식품의 경우는 실제로 표기된 제품을 찾을 수 없어 현행 표시기준의 실효성에 대한 문제가 제기됐다.
서울환경연합 관계자는 "최근 급증하는 식품사고로 인해 식품안전에 대한 국민들의 불안이 가중되고 있다"고 밝히고 "이제 식품 표시는 변화하는 식품환경에서 최소한의 소비자의 알권리와 선택권을 보장하는 기본적인 요소로 소비자들은 식품 표시의 확대·강화를 요구하고 있다"고 밝혔다.
서울환경연합은 이번 토론회에서 정부, 업계, 소비자가 한자리에 모여 실질적인 대안과 정책 개선 방향을 모색한 뒤 식품안전을 위한 식품표기 개정 방향에 대한 의견을 제시한다는 방침이다.